이중근 부영그룹 회장이 5일 서울 중구 본사에서 연년생 자녀를 출산한 직원 가족에게 출산 장려금 2억원을 지급하고 있다. 부영그룹은 이날 저출생 극복을 위해 2021년 1월 이후 태어난 직원 자녀 70명에게 1인당 1억원씩, 총 70억원의 출산 장려금을 지급했다. /연합뉴스

4월 출생아 수가 1만9049명으로, 1년 전보다 2.8%(521명) 늘었다. 전년 동월 대비 출생아 수는 2022년 9월 이후 내리 하락세를 보였는데 19개월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인구 1000명당 출생아 수는 4.6명으로 1년 전보다 0.2명 늘었다. 4월 기준 출생아 수도 9년 만에 반등했다. ‘대한민국 소멸론’까지 나오는 와중에 희소식이 들려왔다.

출생률의 선행지표인 혼인 건수도 1만8039건으로 작년 4월보다 24.6%(3565건) 늘었다. 4월 혼인 증가율은 2018년 10월(26%) 이후 가장 높고, 4월 기준으로 역대 최고치다. 지난해 4월의 혼인 건수가 낮았던 데 따른 기저 효과도 있지만 지방자치단체의 각종 저출생 대책이 거둔 효과도 있을 것이다. 혼인 증가율 44.1%로 1위인 대전의 경우, 올해 1월부터 만 19~39세 신혼부부를 대상으로 최대 500만원의 결혼 장려금을 지원했다. 혼인 증가율 2위(37.6%) 대구도 결혼 7년 이내 신혼부부에게 연 320만원까지 전세 대출 이자를 지원했다. 결혼을 적극 지원한 지역에서 혼인 증가율이 두드러진 것을 보면 저출생 극복을 위한 대책들이 획기적이지는 않다고 해도 나름의 효과를 내고 있는 것이다.

출생 장려를 위한 기업들의 지원책도 효과가 나타나는 모습이다. 직원에게 자녀 1명당 1억원씩의 출산 장려금을 지급한 부영그룹은 올해 경력·신입 사원 공채에 예전보다 5배 이상 많은 지원자가 몰렸다고 한다. 기존에 40~50대 지원자가 주를 이루던 경력 사원 모집에서도 20~30대 지원자가 급증했다. 기업들이 출생을 장려하고 가족 친화적 근무 환경으로 탈바꿈하면 아이를 더 낳는 효과를 낳을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모처럼의 출생률 ‘청신호’가 반짝 반등에 그치지 않으려면 당연한 말이지만 나라 전체가 아이 낳아서 키우기 좋은 사회로 대전환해야 한다. 주택 가격 안정, 일자리 창출, 양육 부담 완화, 과도한 사교육비 해결 등 젊은 층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을 중심으로 정부와 지자체가 대책을 마련하고 꾸준히 시행해야 한다. 반드시 효과가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