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8일 오후 1시쯤 행주나루터 선착장 근처에 시신이 떠 있다는 신고가 경찰에 접수됐다. 조사 결과, 서울 금호동의 한 고시원에서 혼자 살던 61세 남성이었다. 5㎏ 아령이 팔에 신발끈으로 묶여 있었다. 건강을 위해 제작된 물건. 필시 미래의 힘을 기르려 애써 들어 올리곤 했을 그 무게는 이제 산 사람의 것이 아니었다. 이 죽음에 대해 어쭙잖은 감상을 늘어놓을 생각은 없다. 여러 질환을 앓던 남자의 월 20만원짜리 고시원에는 현금 10만원이 담긴 봉투와 ‘청소비로 써달라’는 메모가 놓여 있었다.

갈림길에서 모든 선택은 극단적일 수 밖에 없다. 언론중재위원회는 5월부터 자살 사건 보도 시 제목에 ‘극단적 선택’을 사용할 경우 시정을 권고하기로 했다. 자살의 완곡 어법, 그 표현이 되레 자살을 ‘선택 가능한 대안 중 하나’로 인식하게 할 수 있다는 이유였다. 그 우려에 전부 동의하지는 않는다. 프랑스 사회학자 에밀 뒤르켐의 지적처럼 모든 자살이 사회적 타살이라 해도, 벼랑 쪽으로 걸어간 이상 선택의 몫은 자기 자신에게 있다. 그러나 단 한 명이라도 살릴 수 있다면 나는 기꺼이 이 단어를 포기할 것이다.

조금 태어나고 더 많이 죽는다. 다사사회(多死社會)에 진입했다. 이미 대한민국의 자살률은 세계 최고다. 지난 6일 보건복지부가 최신 통계를 보고했다.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자살한 사람이 6375명이었다. 전년 동기보다 10.1% 늘어난 수치다. 지난해 사망한 사람이 35만2700명이었다. 그중 자살자가 1만3770명이다. 매일 38명꼴로 목숨을 끊었다. 사회적 고립과 경제난, 우울·불안 증가…. 새 생명을 잉태하는 일만큼이나 산 사람을 살리는 대책이 시급하다. 이대로라면 머지않아 소멸할 것이다.

드라마 ‘나의 아저씨’ 주요 배경으로 등장하는 서울 용산의 백빈 건널목. 열차가 지날 때마다 차량 통행을 막는 차단봉이 내려온다. 차단봉에 부착된 작은 종이에는 의미심장한 글씨가 적혀 있다. /tvN

정부가 분석한 자살 증가 원인 중 하나가 ‘모방 자살’이었다. 지난해 말 배우 이선균씨의 사망 사건 이후 7~8주간 자살 사망자가 늘었다고 했다. 그가 죽고 얼마 뒤 그의 대표작 ‘나의 아저씨’ 촬영지였던 용산 백빈건널목에 가본 적이 있다. 집으로 향하는 길목, 이선균을 포함한 극중 소시민들이 술 취해 쓰러지고 증오하고 다시 서로를 끌어안던 장소. 서울에 몇 안 남은 이 철길 건널목에 열차가 진입할 때마다 ‘땡땡’ 경고음과 함께 통행을 가로막는 차단봉이 내려온다. 자세히 보면 거기에 작게 ‘갇혔을 때 돌파하세요’라는 글씨가 적혀 있다. 돌파하세요. 괜찮으니까 차단봉은 그냥 부숴버리세요. 뒷일은 나중에 생각하고, 일단은 살아남으세요.

누구나 한 번은 갇힐 수 있다. ‘갇힘 사고’라고 한다. 너무 느려서 혹은 무리하다가 오도 가도 못하게 돼버린 인생의 순간. 열차는 맹렬한 속도로 달려오고 있다. 작은 글씨로는 부족하다. 돌파하라고 큰 소리로 외쳐줘야 한다. 타고 있는 차량이 박살 나든 기물이 망가지든 일단은 밖으로 빠져나오라고, 삶의 의지에 기반한 극단적 선택을 추동하는 것, 나는 이것이 자살의 시대에 언론이 해낼 수 있는 ‘선택 가능한 대안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누군가로 인해 죽을 수 있다면 누군가로 인해 살 수도 있을 것이다.

갈림길에서, 바라건대 모든 선택이 언제나 삶 쪽을 향하기를. 무거운 아령은 내려놓고 신발끈을 신발에 다시 묶고 집으로 걸어가기를. 극심한 좌절 속에서도 청소비를 걱정하는 사람들에게 계속 말해줘야 한다. 그런 건 염려하지 말라고, 살아있는 한 돕겠다고 약속해야 한다. 우리 사회의 몫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