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목구비(耳目口鼻)가 무슨 뜻이냐는 아이에게 대답을 해주려다 잠시 망설였다. 그전에 부조리(不條理)가 뭐냐고 물었을 땐 아이들 보는 책에 그런 말도 나오나 싶었는데 이건 좀 헷갈렸다. 이목구비 역시 초등학교 3학년에겐 어려운 말일까. 아니면 그쯤은 이제 알아야 하는데 모르는 걸까. 스스로 사전을 펼치길 바라는 것은 부모의 욕심이다. 아이는 가르쳐준 적 없는 인터넷 검색은 자연스럽게 해도 두꺼운 종이 사전은 부담스러워한다. 뉴스에 오르내리는 문해력 저하 현상이 괜한 얘기가 아니라는 걸 이럴 때 느낀다. “아무리 영어가 세계 공용어여도 아시아권에선 한자를 모르면 문맹”이라던 고등학교 시절 선생님 말씀도 떠오른다.
한국의 문해력 위기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지난 10일 발표한 보고서에도 나타난다. 16~65세를 대상으로 문해력과 수리 능력, 문제 해결 능력을 평가한 이 보고서에서 한국 문해력은 249점으로 31국 중 22위였다. 한국이 평균(260점)에도 미치지 못한 반면 일본은 289점으로 2위였다. 최고 수준의 인터넷 환경과 스마트폰 보급률을 자랑하는 ‘디지털 코리아’ 한국과, 고유문자와 함께 한자를 상용하는 ‘아날로그의 나라’ 일본의 차이가 이렇게 나타나는지도 모른다.
점수보다 걱정스러운 건 하락세다. 한국 문해력 점수는 이전 조사(2013년)보다 23점 떨어졌다. 더 많이 떨어진 나라는 폴란드(31.2점)와 리투아니아(28.4점) 둘뿐인데, 폴란드의 경우 일부 조사원의 데이터 수집 규칙 위반과 비정상적인 답변의 패턴을 이유로 ‘결과 해석에 주의가 필요하다’는 주석이 붙었다. 한국인의 문해력이 사실상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무너지고 있는 셈이다. 한국의 수리 능력도 순위(23위)는 비슷하지만 점수 하락 폭(10점)이 문해력만큼 극적이지는 않다.
문해력 저하에 대한 이야기는 때로 요지경의 풍속도처럼 보인다. 이를테면 학생들이 족보는 ‘족발 보쌈 세트’ 아니냐고 하고 시발점은 욕으로 알더라는 이야기(10월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조사)는 희극인지 비극인지 아리송하다. 그러나 문해력은 ‘요즘 아이들’ 문제가 아니다. OECD 보고서의 제목은 ‘성인들에겐 변화하는 세상에서 살아남을 기술(skills)이 있는가’였다. 문해력을 학력의 척도가 아니라 생존 기술로 본다는 의미다. 무인도에 홀로 떨어지면 주머니칼 하나로 의식주를 해결하는 기술이 필요하겠지만 현대인은 일생 그럴 일이 없다. 대신 언어와 수(數)의 바다에서 필요한 정보를 정제(精製)하며 살아가야 한다.
문해력의 중요성을 특히 민주주의와 연관지어 설명하는 부분이 눈에 띄었다. “민주주의가 효과적으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개인이 관련 정보를 적극적으로 찾고 그 질을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런 능력이 없으면 사람들은 정책이 다루고자 하는 복잡한 문제에 대해 충분한 근거가 있는 의견을 형성할 수 없다.” 유용한 정보와 부정확한 정보, 의도적인 거짓 정보가 뒤섞인 채 넘쳐나는 세상에선 더욱 그럴 것이다.
문해력이 민주주의의 첫걸음이라면, 문해력의 뚜렷한 쇠퇴는 민주주의가 그만큼 뚜렷하게 취약해지고 있다는 의미도 될 것이다. 그렇다면 민주주의의 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는 무너진 문해력을 회복하는 일도 포함돼야 한다. 말이 통해야 대화도 통한다. 대화와 타협은 민주주의의 기본 원리다. 지금 한국의 공론장에서 사라져버린 그 원리도 결국 자기 생각을 표현하고 남의 생각을 이해하는 데서 출발한다. 사람보다 더 사람 같은 인공지능(AI)이 요점도 정리해주고 글도 척척 써주는 시대라지만, 시민의 한 사람으로서 어떤 생각을 가지고 살아갈 것인지까지 AI에게 물어볼 수는 없는 일이다.
매일 조선일보에 실린 칼럼 5개가 담긴 뉴스레터를 받아보세요. 세상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 ☞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91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