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흥가 근처에서 중년의 남성이 쓰러졌다. 술자리가 파하고 집으로 돌아가던 길이었다. 마침 주위에는 아무도 없었다. 행인에게 발견될 때까지 그는 줄곧 혼자 쓰러져 있었다.

응급실로 실려온 그는 심정지 상태였다. 외상의 흔적도 없었고 심장의 움직임도 없었다. 심폐소생술에도 심전도는 평행선을 그렸다. 돌아오기 어려운 심정지였다. 치명적이지만 여기서는 흔한 일이었다. 심정지가 발생한 모든 사람은 이곳에 모였다. 그리고 심정지 환자 열 명 중 아홉 명은 살아서 이곳을 나갈 수 없었다.

주머니를 뒤져 그의 핸드폰을 찾아 통화 목록을 열었다. 가족에게 소식을 전해야 했다. 마침 아들로 저장된 번호가 최근 통화에 찍혀 있었다. 연결되지 않았던 마지막 통화는 한 시간이 지나지 않았다. 환자가 전화를 건 뒤 어느 시점에 쓰러져 행인이 발견해 심폐소생술과 함께 실려온 일이 모두 한 시간 안에 일어난 것이다.

나는 아들에게 전화를 걸었다. 나는 조금 전 환자가 자신의 의지로 전화를 걸었다는 사실을 상기했다. 심폐소생술을 받고 있는 그는 핸드폰을 누르기는커녕 보고 듣는 일조차 불가능해 보였다. 가끔 환자가 직전까지 멀쩡히 사고하고 행동하던 사람이었다는 사실이 믿기지 않았다. 문득 전화기에서 목소리가 들렸다.

“A님의 아드님 되시나요?” “맞는데요.”

당혹스러운 목소리였다. 아버지로부터 걸려온 전화의 목소리가 아버지가 아니었으니 당연했다. 하지만 아버지는 목소리를 낼 수 없었고 필연적으로 누군가 사실을 알려주어야 했다.

“저는 응급실 의사입니다. 아버지가 심정지로 쓰러져 심폐소생술 중입니다. 빨리 병원으로 와주세요.” “뭐라고요? 알겠습니다.”

이십 분이 채 지나지 않아 남자가 응급실로 들어왔다. 그가 보호자임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었다. “제가 전화를 건 의사입니다. 최선을 다해 처치를 하고 있지만 곧 돌아가실 것 같습니다.” 그는 비명과 함께 아버지가 있는 소생실 쪽으로 몸을 부딪혀 주저앉았다. 나는 그를 잠시 부축한 뒤 소생실로 들어갔다. 환자의 심박은 계속 평행선이었다. 나는 소생실로 아들을 불렀다.

“심장이 전혀 반응하지 않습니다. 아마도 급성 심근경색이었을 것 같습니다. 이제 막 운명하셨습니다.”

“저, 한 시간 전에 전화를 건 것도 선생님인가요?”

“아닙니다.”

“그러면 그때는 온전한 아버지였나요? 아니면 도움을 요청하거나 마지막으로 말씀을 남기는 전화였을까요?” “심정지는 불시에 찾아옵니다. 심장이 멈춘 뒤에는 전화를 걸지 못하셨을 것입니다.” “으....”

아들은 잠시 얼굴을 파묻고 있다가 고개를 들어 쏟아내듯 말했다. “아버지는 다정했어요. 약주를 드시면 전화를 거는 습관이 있으셨어요. 방금 귀가하실 시간이었는데, 솔직히 전화기에서 아버지의 이름을 보았어요. 그런데 일부러 안 받았어요. 잠깐, 그럴 때가 있잖아요. 그런데 다시 전화가 와서 받으니, 선생님이었어요. 방금 통화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였던 것이지요?” “....”

“제가 전화를 받았으면 달라졌을까요?” “아닐 것 같습니다. 다만 아버지는 마지막까지 아들을 생각하신 겁니다. 전화는 운명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습니다. 마지막까지 아드님을 생각하고 사랑하다가 돌아가셨을 뿐입니다.”

“그래도, 그걸 제게 전하려고 하셨는데, 제가 외면한 거잖아요. 지금 돌아가셨잖아요. 그건 아버지가 말씀하실 수 있는 마지막 순간이었잖아요. 그런데 제가 안 받은 거잖아요.” “저....” “아버지. 우리 아버지.”

아들은 돌아가신 아버지를 끌어안고 우느라 겨를이 없어 보였다. 소생실 자동문을 빠져나오자 커다란 곡소리가 따라 나왔다. 죽음은 어느 순간 불시에 찾아오고 우리는 막을 수가 없다. 그렇다면 매 순간 치열하게 사랑하는 것이 답일까. 그 또한 완벽한 정답이 아닐 것이다. 사랑은 언제나 표현되지 않고 우리는 마지막을 모른다. 모든 순간을 빠짐없이 사랑하는 일은 불가능하다. 운명을 피할 수 없어 원천적으로 삶은 슬프고 치명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