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일 수원시 수도권기상청에서 분석관이 모니터에 표시된 한반도 상공의 비구름을 가리키고 있다. /뉴시스

지난 20일 기상청 자유게시판에 ‘기상청 때문에 굶어 죽게 생겼다’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숙박업을 한다고 밝힌 자영업자 A씨는 “6월 동안 매주 주말마다 비가 와서 예약률이 떨어졌다”며 “오늘도 폭우가 온다고 해 예약한 손님들조차 취소를 했다”고 적었다. 이날은 기상청이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최대 150㎜의 비가 내릴 것”이라 예보했던 날이다. 하지만 실제로 내린 비는 저녁부터 밤 사이 30~50㎜대에 그쳤다.

A씨는 “그동안은 그래도 날씨니까 어쩔 수 없지, 장마니까 인정해야지 하며 기다렸다”며 “하지만 기상청이 비가 온다고 표시해 놓으니 예약 자체가 없고 사람들이 더 안 온다”고 했다. 지난 19일 기상청은 20~30일 열흘 동안 중부지방 날씨를 내내 흐리고 비가 올 것으로 예보했다. A씨는 “본인들만 책임 피하려고 전부 비 온다고 해놓은 거냐”고 따졌다.

이번 장마철 들어 기상청 예보가 틀리는 때가 많았다. 특히 애매모호한 예보가 분노에 불을 붙였다. 기상청이 예상 강수량을 ‘20~80㎜’로 내놓자, 시민들은 “중간에 어디 하나 얻어 걸리려 범위를 넓게 잡는 거냐”고 했다. 예보 내용 중 ‘강수 확률’을 없애라고도 한다. “강수 확률 60%는 비가 온다는 거냐, 안 온다는 거냐”라고 묻는다.

기상청도 할 말이 없는 건 아니다. 기상청은 브리핑에서 “올해 정체전선(장마전선)이 좁고 긴 띠 모양으로 형성된 데다가 중간중간 작은 비구름이 짧은 시간 내에 생겼다 사라지고 있어 예측이 어렵다”고 밝혔다. 기상청은 또한 “지금 예보 기술로 작은 비구름은 예측할 수 없다”고도 했다. 국민도 기상청이 신이 아닌 이상 항상 맞는 예보만 할 수 없다는 것은 알고 있다.

하지만 그럴수록 예보가 친절해져야 하지 않을까. 틀릴 때 틀리더라도 필요한 정보를 달라는 것이다. ‘비가 20~80㎜ 오겠다’ 해놓고 30㎜ 왔다고 “봐라. 예보가 맞았다” 하는 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 비가 60㎜가 와도 새벽에 오다 그친다면 사람들은 상대적으로 불편함을 덜 느낀다. 비가 내린다 해도 폭우 수준이 아니라면 휴가 정도는 떠날 수 있다. 시민들이 필요로 하는 정보는 비가 정확히 언제 얼마나 오는지보다는 그 비가 위험한지, 일상생활을 해도 되는지, 변동 가능성은 얼마나 큰지다.

영국에선 비가 올 것으로 예상될 때 인명 피해, 침수, 교통 체증 등 시민들이 어떤 불편을 겪게 될지를 기준으로 삼아 호우 특보를 내린다고 한다. 올해처럼 변동 가능성이 크다면 예보를 수정하는 데 급급해 하기보단 차라리 ‘틀릴 수 있다’고 인정하는 건 어떨까. 기상청이 “일단 지금은 비가 많이 올 것으로 예상되긴 하는데, 변수가 있으니 외출 전 실시간 예보를 꼭 확인하라”고 예보한다면 어떨까. ‘예상 강수량 ‘20~80㎜’ 식으로 나 몰라라 하는 것보다는 요긴한 정보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