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 수 부족으로 올 3월 문 닫은 서울 화양초교와 내년 4월 폐교 예정인 도봉고교를 외국인 관광객이 머물 수 있는 시립 유스호스텔로 개발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중국이 한국 단체 관광을 전면 허용하면서 중국인 유커(관광객)가 대거 방한할 것으로 예상되자 오세훈 서울시장이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에게 이 같은 제안을 했다고 한다.
▶저출산 고령화를 먼저 겪은 일본에는 폐교를 활용한 숙박 시설이 꽤 있다. 일본 오키나와 북부의 아이아이팜은 폐교된 초등학교를 개조해서 만든 3성급 호텔 겸 체험형 농장이다. 교실을 객실로 단장해 16개 객실을 운영한다. 교무실은 레스토랑이 됐는데 유기농 식재료를 이용한 음식을 제공한다. 일본 지바현의 초등학교도 1층 교실을 식당과 어린이 놀이 공간, 2층을 숙박 시설, 체육관을 농산물 판매 공간으로 개조해 2015년 오픈 이후 연 방문객이 60만명에 이르는 명소가 됐다.
▶제주 한림읍에는 1993년 폐교한 ‘명월국민학교’가 명칭은 그대로인 채 카페 겸 갤러리로 운영되고 있다. 교실은 ‘1학년 1반’ ‘2학년 1반’ 대신 ‘커피반’ ‘갤러리반’으로 바뀌었다. 폐교 후 한동안 마을 행사나 경조사에 사용되다가 청년회를 비롯해 마을 사람들이 뜻을 모아 폐교 재활용에 나선 우수 사례다. 제주의 김영갑갤러리, 충남 당진의 아미미술관처럼 폐교를 활용한 미술관도 있고, 캠핑장이나 청소년 체험 시설도 있다. 전국의 3800여 개 폐교 중 66%는 민간에 팔렸다. 매각, 임대를 합해 폐교의 81%가 민간 손에 맡겨졌는데 성공적인 운영 사례도 있지만 제대로 활용되지 못해 시·도 교육청이나 마을 주민들이 골머리를 앓는 곳도 상당수다. 350여 개는 매각도 임대도 안 된 채 방치 상태다.
▶시골뿐 아니라 도시 폐교도 방치하면 금방 흉물이 된다. 모기업이 경영난을 겪으면서 2005년 폐교한 대전의 한 실업계 고교는 담력 과시하는 폐가 체험단들 사이에서 ‘공포 체험 성지’로 꼽히고 있다. 창가에는 부적이 휘날리고 교실에는 새까맣게 그을린 화재 흔적도 있으며 지하에는 물이 들어차 대낮에도 음산한 분위기다. 몇 년 전 심야에 혼자 폐교 체험을 나섰던 30대 남성이 인근 저수조에 빠져 실족사한 사고까지 있었다.
▶서울도 학생 수 240명 이하의 미니 초등학교가 작년 42곳에서 4년 후면 80곳으로 늘 것이라고 한다. 초·중·고뿐만 아니라 전국에 문 닫는 대학교도 속출하게 된다. 시·도 교육청에만 맡겨두지 말고 폐교를 더 창의적이고 생산적인 지역 공간으로 재생하는 데 지혜를 모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