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러스트=이철원

최불암은 1992년 정주영이 이끄는 통일국민당 비례대표 의원이 됐지만 인기 드라마 ‘전원일기’에 계속 출연했다. 당시에는 규제가 없었다. 이후 서울 영등포에서 지역구 후보로 재선에 도전했으나 서른 갓 넘긴 김민석에게 밀려 낙선했다. 선거운동 때 김민석은 “국회의원 김민석과 연기자 최불암을 동시에 살리자” “최불암은 무대로, 김민석은 국회로”를 외쳤다. 훗날 최불암은 “그 선거구호 때문에 졌다”면서 “맞긴 맞는 얘기잖아”라고 했다.

▶경기 구리에서 당선된 코미디언 이주일은 회고록을 남겼다. “그들은 나를 국회의원이 아니라 여전히 행사나 빛낼 코미디언으로 대했다”면서 “참기 힘들었다”고 했다. 그는 후배 이덕화가 경기 광명에 출마했을 때 충고했다. “연예인 티 내지 마. 입술 부르트고 눈도 충혈돼야 동정표 받아.” 그런데 “이덕화가 말을 안 듣고 가발에 무스 바르고 셔츠에 칼주름 잡더니 떨어졌다”고 했다. “사람들은 후보에게 못난 구석이 있어야 찍는다”고 했다. 본인의 깨달음 같았다.

▶연기자 출신만 열서넛이 금배지를 달았다. 70년대 유명 드라마 ‘데릴사위’의 스타였던 홍성우가 서울 도봉에서 3선을 했다. ‘연예인 1호’ 국회의원이었다. 그 뒤로 최무룡 신영균 이주일 이대엽 이낙훈 이순재 최불암 강부자 신성일 정한용 최종원 등을 떠올릴 수 있다. 20대 국회의 ‘유일한 배우 출신’이라는 오신환은 무대 경력이 짧다. ‘장군의 손녀’ 김을동은 서울 송파에서 3선에 도전하다 고배를 마셨다. 그때 맥이 끊긴 셈이다.

▶어제 배우 남궁원의 영결식이 있었다. 아들 홍정욱이 추모사를 했다. ‘선거철이면 출마 종용을 받으셨을 텐데 왜 응하지 않았느냐’고 아버지께 여쭌 적이 있다고 했다. “아버지께선 ‘내가 국회의원을 열 번을 해도 사람들은 나를 영원히 배우로 기억할 것이다. 한번 배우는 영원한 배우다’라고 답하셨다”고 했다. “동료들로부터 존경받는 영화배우, 자식과 아내의 사랑을 받는 가장”, 사실 이보다 값진 ‘인생 훈장’은 없을 것이다.

▶과거 연예인이 권력층의 강권으로 정치에 발을 들이면 갖가지 ‘이벤트’에 활용당하다 끝이 안 좋았다. 몇몇은 뇌물죄로 징역을 살기도 했다. 이덕화 김형곤 문성근은 첫 도전에 실패한 뒤 꿈을 접었다. 요즘엔 영입 후보로 거론되는 연예인들이 제안을 고사한다. 차인표는 “오로지 연기자로서 전념하고 싶다”고 했다. 남궁원은 오래전 이런 변화를 내다본 것일까. 남궁원이란 이름은 앞으로도 영원히 배우로 기억되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