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재무 장관을 지낸 래리 서머스가 2016년 트럼프 당선을 예측한 구글의 빅데이터 전문가를 찾아 과제를 줬다. 사람들이 소셜미디어(SNS)에 올리는 온갖 주식 관련 정보를 모은 다음 분석 알고리즘을 돌려 ‘필승 투자법’을 찾아보라는 주문이었다. 전문가는 몇 달간 온갖 시도를 한 뒤 답을 가져왔다. “주가 예측은 빅데이터로도 안 된다”는 것이다.
▶투자의 세계는 변수가 너무 많아 예측 불가 영역에 가깝다. 인류 대표 천재 뉴턴과 아인슈타인도 주식 투자에선 쓴맛을 봤다. 뉴턴은 북미 무역 독점권으로 투자자를 현혹한 남해회사에 투자했다가 거품 붕괴의 희생양이 됐다. 아인슈타인은 노벨상 상금을 미 국채에 투자했다가 대공황 탓에 쪽박을 찼다. 뉴턴은 “천체 움직임은 예측할 수 있어도 대중의 광기는 계산할 수 없다”는 경구를 남겼다.
▶하지만 수학을 적용해 ‘필승 투자법’을 찾으려는 시도는 이어졌다. 아인슈타인의 브라운 운동 방정식을 활용해 파생 상품의 적정 가격을 찾는 모델을 창안한 노벨경제학상 수상자들이 롱텀캐피털이란 자산운용사를 차렸다. 저평가됐다며 집중 매수한 러시아 국채가 러시아의 국가부도 선언으로 휴지 조각이 되면서 파산하고 말았다. 반면 엊그제 타계한 미국 수학자 제임스 사이먼스는 ‘방정식 투자 모델’의 잠재력을 실증했다. 그는 수학, 통계학에 기반해 주가 흐름을 예측하는 퀀트(Quant) 투자법으로 30년간 연평균 66% 고수익을 냈다. 하지만 퀀트 투자법도 코로나 국면에선 30% 손실을 기록하는 등 완벽하진 못했다.
▶생성형 AI(인공지능)의 등장은 ‘백발백중 투자법’에 대한 기대를 다시 높이고 있다. 과거 수백 년간의 기업 실적, 주가 흐름, 매수·매도 타이밍, 투자자 심리 변화, 금리·환율 동향 등 빅데이터를 기계 학습 시킨 뒤 AI로 하여금 미래 주가를 예측하게 하는 것이다. 이미 다양한 모델이 나와 있다. 현재 개별 종목의 상승·하락 적중률이 57% 수준이라고 한다. 서울대 컴퓨터공학과 문병로 교수는 2년 내에 획기적 개선이 이뤄져 ‘게임 체인저’가 될 수 있다고 말한다.
▶LG그룹 AI연구원과 국내 AI 스타트업이 공동 개발한 AI 투자 펀드를 작년 11월 미국 증시에 상장했다. AI가 골라내는 주식에 투자하는 펀드(ETF)인데 6개월간 18% 수익을 낼 정도로 성과가 좋다. 과거 ‘필승 투자법’을 찾던 래리 서머스가 얼마 전 챗GPT를 만든 오픈AI의 이사회 멤버가 됐다. 조만간 서머스와 샘 올트먼이 합작한 ‘백발백중 AI 투자 모델’이 등장할 수도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