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제나라에선 종(鐘)을 만든 뒤 소의 피를 발라 틈을 메웠다. 왕은 끌려가던 소가 눈물을 흘리자 “차마 볼 수가 없다”며 놔주라고 했다. 백성이 “그럼 피를 바르지 말까요” 묻자 왕은 “소 대신 양으로 바꾸라”고 했다. 양으로 소를 대신한다는 이양역지(以羊易之) 이야기다. 맹자는 왕에게 “눈물 흘리는 소만 봤지 양은 못 보셨군요. 소는 불쌍하고 양은 불쌍하지 않습니까”라고 했다. 왕은 제대로 답을 못 했다. 눈에 보이는 것은 불쌍히 여기고 그렇지 않으면 측은지심을 못 느끼는 것이 사람 마음이다.
▶국제사회의 압박에도 명맥을 유지했던 개고기가 개 식용 금지법 공포로 2027년부터 사라지게 된 데는 반려견 문화 확산이 결정적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개고기가 사라진다고 보양식 문화까지 없어지지는 않는다. 오히려 더 커지고 있다. 개고기 식당에선 오래전부터 조리법과 육질이 유사한 흑염소를 ‘대체재’로 준비했다. 메뉴판에 개고기는 ‘영양탕’, 흑염소는 그대로 ‘흑염소탕’이라고 적었다. 들깨, 겨자, 식초가 재료인 소스를 함께 사용하다 보니 두 고기를 구별하기 어렵다. 국내 최대 개 식용 시장이었던 성남 모란시장 입구에는 ‘흑염소 특화 거리’라는 조형물이 들어섰다. ‘복날의 제단’에도 개 대신 흑염소가 오르고 있다.
▶최근 흑염소 낙찰가는 50㎏ 1마리에 100만원으로, 2019년 33만원과 비교해 무려 3배로 올랐다. 가격이 생산비 이하로 떨어져 사육을 포기하던 것이 몇 년 전이었다. 지난달 전남 강진의 염소 경매시장에서 ㎏당 평균 가격은 암염소 1만8776원, 거세 흑염소 1만8150원으로 ㎏당 1만5000원 안팎인 한우를 앞섰다. 국내산 흑염소로는 개고기 빈자리를 감당 못 하자 염소 수입도 2014년 1463t서 2022년 3322t, 작년 5999t로 급증세다. 수입 염소의 99%는 호주산이고 뉴질랜드가 나머지다.
▶국내 흑염소 농가들이 ‘포스트 개고기’에 준비가 덜 된 것과 달리 호주는 치밀했다. 호주축산공사(MLA)는 작년 8월 보고서에서 한국의 개고기 반대 여론을 언급하며 “한국 시장에서는 쇠고기·양고기보다 개에 가까운 풍미와 저지방을 지닌 고기가 개고기를 대신할 것”이라며 ‘염소 특수’를 준비했다. 호주는 국내 흑염소의 절반 가격으로 대대적 공세에 나섰지만, 우리 정부와 국회는 ‘개고기 금지’만 신경 썼지 그 이후는 내다보지 못했다. ‘한우’와 수입산으로 나뉜 소고기에 이어 흑염소도 ‘한염소’와 호주산이 경쟁할 모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