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4년 5월 기상청 직원들이 대규모 체육대회 행사를 하는 날 비가 내렸다. 오후 들어 갑자기 비가 쏟아지는 바람에 부랴부랴 행사를 끝내야 했다. 공교롭게도 그 전년 체육대회 날에도 큰비가 내렸다. 기상청은 “총무과에서 예보관실과 상의 없이 날짜를 정한 것”이라고 해명했지만 통하지 않았다. ‘기상청 야유회나 체육대회 날엔 비가 내린다’는 말은 30년이 지난 지금까지 사람들 입에 오르내리고 있다.

일러스트=이철원

▶7월 들어 기상청 예보가 틀리는 지역이 많아지면서 매년 나오는 불만이 또 나오고 있다. 폭우를 예보했지만 정작 비가 내리지 않거나, 비 예보가 없었는데 폭우가 쏟아지는 일이 속출하고 있다. 예보도 수시로 바뀌어 “이 정도면 중계 아니냐”는 말까지 나온다. 기상청의 올해 상반기 강수맞힘률(비가 온다는 예보가 맞은 비율)도 평균 69%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포인트 하락했다. 최근 장마전선 폭이 극도로 좁아지면서 같은 지역이라도 강수량 편차가 크다는 것이 기상청 설명이다. 레이더 기상 영상을 보면 강우 지역이 점점이 흩어져 있기도 하다.

▶얼마 전부터 한국 기상청 예보가 아닌 해외 날씨 앱을 본다는 사람들이 생겨났다. 22일 기준 애플 앱스토어 무료 날씨 앱 부문 1위는 체코에 본사를 둔 ‘윈디닷컴’, 3위는 미국 기업인 ‘아큐웨더’이고 우리 기상청의 ‘날씨 알리미’는 6위로 처져 있다. 노르웨이 기상청이 1시간 단위로 예보하는 앱 YR은 7위에 올랐다. 해외 기상 앱을 쓰는 사람들을 가리키는 ‘기상 망명족’이라는 용어도 등장했다.

▶기상청이 이들 해외 앱의 한국 기상 예보 적중률을 검증해 본 결과 우리 기상 예측이 훨씬 정확했다고 한다. 사실 그럴 수밖에 없다. 해외 기상 앱들은 한국 기상청이 제공한 기본 자료를 바탕으로 그냥 수치 예보 모델을 돌리는 방식이다. 기상청은 다른 나라에는 제공하지 않는 기상 항공기·기상 관측선 등의 특별 관측망 자료까지 더해 예보 모델을 돌리고, 우리 기상 특성을 잘 아는 베테랑 예보관들의 경험까지 더해 예보하기 때문에 가장 정확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다만 외국 앱의 그래픽 처리 등은 배울 점이 있다고 인정한다.

▶올해 장마는 ‘도깨비 장마’라고 할 정도로 유별나다. 하지만 날씨가 시민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갈수록 커지니 기상청은 욕을 먹을 수밖에 없다. 관측망을 더 촘촘히 하고, 예측 모델을 더 정교하게 만들고, 최종 결정하는 예보관 자질을 높여나가는 수밖에 없다. 그래도 기상을 완벽히 예측할 수는 없다. 어쩌면 기상청의 숙명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