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러스트=이철원

법적 노인 연령인 만 65세 이상도 ‘경로당 가는 상노인(上老人)’과 ‘카톡창 여는 하노인(下老人)’으로 활동성의 차이가 크다는 보도가 나왔다. 최근 대한노인회는 현행 65세인 노인 기준 연령을 매년 1년씩 높여서 75세까지 상향하자고 정부에 제안했다.

▶”내가 늙어 머리가 빠지면 넌 여전히 생일 축하 인사와 와인을 보내줄까? 내가 64세가 되어도 여전히 나를 필요로 하고 나를 돌봐줄까?” 비틀스의 1967년 음반에 실린 ‘내가 64세가 되면(When I’m Sixty-Four)’의 한 구절이다. 존 레넌과 폴 매카트니가 작사·작곡한 이 노래는 영국 남성의 평균수명이 69세, 여성이 75세이던 시절에 지은 곡이다. 몇 년 전 영국의 대학 연구팀이 노화를 묘사한 대중가요 76곡을 분석했는데 늙어감을 부정적으로 묘사해서 노인들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대표곡으로 이 곡을 꼽았다.

▶그로부터 22년 뒤인 1989년, 영국에서는 사회학자 피터 라슬렛이 인생 4단계 분류법을 제시하면서 60대를 완전히 새롭게 정의했다. 태어나서 교육받는 시기(제1기), 취업해서 가족을 책임지는 시기(제2기)를 지나면 퇴직해서 건강하고 자율적으로 살아가는 인생 3기(Third Age)가 펼쳐진다는 것이다. 그게 60대다. 그만큼 젊고 활력 있는 고령층이 많아졌기 때문이다.

▶‘65세 노인’ 기준은 19세기 말 독일이 국가 연금 수급 연령을 65세로 정한 것에 연원을 두고 있다. 이제는 도저히 노인이라 부를 수 없는 ‘젊은 65세’ ‘팔팔한 70대’가 대거 등장하고 있다. 그래서 서구권에서는 60대 이상도 연소 노인(young-old), 중고령 노인(middle-old), 고령 노인(old-old)이라 나누기도 하고, 65~74세 ‘영 올드’와 75세 이상 ‘올드 올드’로 나누기도 한다. ‘경로당 가는 상노인’과 ‘카톡창 여는 하노인’은 ‘올드 올드’와 ‘영 올드’의 우리식 표현인 셈이다.

▶65세 이상 인구가 1000만명을 돌파해 인구 5명 중 1명이 ‘법적 노인’이다. 하지만 경제활동에서는 60대 취업자가 50대, 40대, 30대, 20대보다도 더 많다. 길어진 수명만큼 오래 일할 수밖에 없는 시대가 된 것이다. 60대 노동력을 생산적으로 활용해서 저출생으로 부족한 노동력을 메우고 청년 세대 부담도 덜어줘야 하는 것이 국가적 과제이기도 하다. 달라진 현실에 맞춰 과거에 만든 ‘노인 기준’도 바꿀 때가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