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러스트=이철원

오래전 한 시인이 ‘석가헌(夕嘉軒)’이라는 이름을 지어놓고 자랑하셨다. ‘저녁이 아름다운 집’. 평화롭고 의젓한 어떤 정경이 피어난다. 아름다운 석양 무렵이다. 그가 노래한 “이것들 저것 속에 솔기 없이 녹아/ 사람 미치게 하는/ 저 어스름 때”(정현종, ‘나의 명함’) 내 마지막 하루도 저물면 어떨까 싶었다. 겸허한 노후 안식처에 그 이름을 붙이리라 내심 탐도 냈었다.

태양이 빛 갈채 속에 무대로 등장하고 퇴장하는 때는 둘 다 너무나 장엄하고 압도적인 시간인지라 일출과 일몰 중 어느 하나만 택하기가 힘들다. 그래서인지 러시아 여류 시인 츠베타예바는 노을 녘에 죽고 싶다고, 아침노을과 저녁노을 두 번 죽고 싶다고 했다.

수학여행, 성지순례, 고산 등반 같은 집단행동형 여행에는 대개 일출 감상이 포함된다. 뜨는 해를 마주해 ‘만세!’ 하며 하루를 시작하는 사람은 건강하다고 한다. 그러나 일몰은 단체 감상 대상이 아니다. 그것은 하루를 마무리하는 여운의 시간, 운수 좋은 하루였다면 감사하고, 운 나쁜 하루였다면 서럽게 울거나 위로받고 싶은 사적인 시간이다. 내면으로 스며드는 뉘엿뉘엿 시각의 한잔 술맛도 최고다. 전망을 중요시하는 외국에서는 일출보다 일몰 조망 주택이 인기가 높은 편이다.

그런데 이게 다 젊음의 관점에서 하는 말이지, 노년의 관점은 다를 수 있다. 요양보호 교육서에 ‘석양 증후군(sundown syndrome)’이라는 용어가 나온다. 해 질 무렵 치매 환자에게 악화하는 불안, 격앙, 우울, 망상, 혼동 등의 이상 증세로, 전체 환자의 20% 정도가 시달린다. 노인요양원 입소자들을 관찰해 온 간호사가 1987년에 ‘낭만적’으로 명명한, 그러나 결코 낭만적이지 않은 이 병증의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불면증, 수분 부족, 약물 부작용, 통증, 피로, 낮 동안의 과도한 흥분, 어둠 등과 관련된 증상으로만 설명된다.

젊음은 늙음을 추측할 따름이다. 의학도, 문학도 여기서는 한계에 부딪힌다. 직접 체험하지 못한 것을 얼마나 알고 설명할 수 있을까? 건강한 사람이 아픈 사람을, 젊은이가 늙은이를 어디까지 이해할 수 있을까? 인생의 한창때 바라보는 석양과 종착지에서 바라보는 석양이 다르다는 자명한 사실을 언제가 되면 실감할 수 있을까?

19세기 시인 튜체프는 쉰 살 전후에 ‘마지막 사랑’이라는 연애시를 썼다. 가정이 있는 몸으로 자신보다 무려 스물세 살 어린 처녀(딸의 동급생)와 사랑에 빠져 쓴 시다. 이 사랑은 그녀가 결핵으로 먼저 세상을 떠나기까지 14년간 이어졌다. 첫사랑에 대한 시는 많아도 마지막 사랑에 대한 시는 드물다. 과연 마지막일지 아닐지는 삶이 끝나기 전까지 모르는 터, ‘이것이 마지막이다’의 전제야말로 가장 강력한 사랑 고백이 아닐 수 없다. 서른이면 인생 다 살았다고 생각되던 시대의 ‘노인’ 시인은 쓴다.

“삶이 저물어갈 무렵의/ 사랑은 우리를 얼마나 애틋이 사로잡는지…/ 비추어라, 비추어라, 작별의 광휘여/ 마지막 사랑의 노을이여!// 어둠이 하늘 절반을 뒤덮어/ 광휘는 저기 저 서쪽에서 서성인다/ 저녁 빛이여, 조금만 천천히, 조금만 천천히/ 황홀한 이 순간을 조금만 더, 조금만 더// 혈관의 피는 옅어져도/ 심장의 사랑은 옅어지지 않느니/ 오, 은총이요 절망인/ 그대, 마지막 사랑이여!”

“조금만 천천히, 조금만 더.” 어둠이 코앞에 닥쳐 있기에, 저녁 빛은 더없이 간절하다. 당연히 마지막 사랑의 행복감은 깊은 절망감과 교차한다. 병증으로서의 ‘석양 증후군’에 대해서도 비슷한 해석이 가능할 듯하다. 황혼 때 발현하는 이 증상은 종말에 대한 불안감과 맞닿았다. 강건한 의식이 병든 무의식에 고삐를 빼앗겨 드러내는 본능의 제스처라고 본다면, 그것은 “내가 아무것도 아닌 것이 되리라는 사실과 화해할 수 없다”(M. 뒤라스)는 절규의 양상일 수 있다. 실제로 석양 증후군의 완화법으로는 친숙한 환경 유지와 어둠 차단이 권고된다.

그러나 이 또한 덜 늙고 덜 아픈 내 입장의 해석이다. 병리학이 규명하지 못한 현상을 이토록 단순하게 심리 해석하는 실례는 내가 아직은 마지막 지점에서 석양을 감상하지 않기에 함부로 범하는 것이다. ‘마지막’과 ‘마지막 이전’의 심연이 궁금하고 무섭다. 그래서 요양보호에 대한 교육을 받기 시작했다. 마음속에 ‘석양이 아름다운 집’을 지으려 한다. 석양이 아름다운 집은 ‘마지막’의 두려움과 스스로 화해하는 공간이다. 아무리 위대한 문학도 그 비밀만큼은 잘 가르쳐주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