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속초 앞바다에 탄도미사일을 쏜 북한은 당분간 대남 군사 도발 수위를 계속 높이는 방식으로 긴장을 극대화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곽길섭 전 국정원 북한분석관은 이날 “7차 핵실험을 바로 하기보다 북방한계선(NLL)과 비무장지대(DMZ) 도발이나 연평도 포격과 유사한 도발 등 여러 방식을 구사할 것으로 보인다”며 “이날은 울릉도와 속초까지만 사정권으로 겨눴지만 한반도 전역을 관통하는 탄도미사일을 쏠 수도 있고 전쟁 날 수 있다는 불안감을 조성해 윤석열 정부의 대북 정책에 대한 비난 여론을 고조시켜 정부를 흔들어댈 것”이라고 했다. 곽 전 분석관은 “7차 핵실험 같은 ‘최후의 도발 카드’를 바로 쓰는 것보다 중간 단계 여러 도발을 거치는 것이 군사적 차원에선 긴장 수위를 끌어올리고 남한 사회의 불안을 야기하면서 남남 갈등을 유발하기에도 효과적이라고 판단할 것”이라고 했다.
전문가들은 북한의 이날 도발이 지난 9월 ‘선제 핵 타격’을 법제화한 이후 이뤄진 각종 도발의 연장선상으로 보고 있다. 남주홍 전 국가정보원 1차장은 “오발을 가장한 우발적 (군사적 충돌) 사고를 유발해 무력 충돌 빌미를 만들려는 것일 수 있다”며 “핵무력 사용을 법제화한 이후 핵을 탑재할 수 있는 탄도미사일을 남한으로 쏠 수 있다는 대남 선제타격 능력을 과시한 것”이라고 했다.
고재홍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연구위원은 “7차 핵실험을 예고한 것”이라며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 발사나 초대형 핵폭탄 공개,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시험, 전술핵 능력 고도화를 위한 다양한 탄도미사일 개량 시험 등 군사 도발이 지속될 것”이라고 봤다. 유성옥 진단과대안연구원장은 “우리 군 대응을 추가 도발 명분으로 삼고 나올 것”이라며 “북한은 과거에도 NLL을 인정하지 않았던 만큼 NLL에서 추가 해상 도발 가능성이 크고 천안함 폭침처럼 우리 영해 내로 침투하는 해상 도발 가능성도 있다”고 했다. 이어 “천안함 폭침 이상의 군사적 도발에도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