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은경 더불어민주당 혁신위원장이 지난 30일 서울 성동구의 한 카페에서 열린 청년 좌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김은경(58) 혁신위원장이 지난 30일 청년 세대 좌담회에서 ‘노인 비하’ 발언을 했다는 논란에 휩싸였다. 남은 기대 수명에 따라 청년과 노인의 투표권 경중을 달리하는 게 합리적이라는 취지의 말을 하면서다. 국민의힘은 “민주당의 어르신 폄하 DNA가 또다시 고개를 들었다”고 했다.

김 위원장의 발언은 좌담회 모두 발언에서 청년들의 투표를 강조하는 과정에서 나왔다. 김 위원장은 “둘째 아이가 스물두 살 된 지 얼마 안 된 아이인데, 중학생 때 ‘왜 나이 드신 분들이 우리 미래를 결정해?’라고 질문을 했다”며 “자기가 생각할 때는 자기 나이부터 남은 평균 기대 수명까지, 엄마 나이부터 남은 기대 수명까지 해서 비례적으로 투표를 하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 말은 되게 합리적이죠”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이어 “민주주의 국가에서 1인 1표기 때문에 현실적 어려움이 있지만 그게 참 맞는 말”이라며 “우리 미래가 훨씬 긴데 왜 미래가 짧은 분들이 똑같이 표결을 하냐는 거다. 되게 합리적이지만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1인 1표 선거권이 있으니까 그럴 수 없는 것이라고 이야기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투표장에 젊은 분들이 나와야 그 의사가 표시된다고 결론을 지었다”며 “민주당은 색채를 보면 늙은 듯한 느낌이 난다”고 했다.

김 위원장 발언은 남은 기대 수명이 다른 청년과 노인의 1표를 달리 보는 게 합리적이라는 의미여서 노인 비하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김 위원장은 31일 논란이 확산되자 “아들이 중학생 시절 낸 아이디어를 소개하며 청년들의 정치 참여를 독려했을 뿐 1인 1표라는 민주주의 기본 원칙을 부인한 바 없다”며 “중학생의 아이디어를 왜곡해 발언 취지를 어르신 폄하로 몰아가는 것은 사안을 정쟁적으로 바라보는 구태적 프레임이자 전형적인 갈라치기 수법”이라고 했다.

하지만 당내에서조차 “김 위원장 설화가 처음이 아니다. 반복되는 게 가장 큰 문제”라는 지적이 나왔다. 김 위원장은 지난 6월 혁신위원장 선임 직후 민주당의 ‘전당대회 돈 봉투 사건’에 대해 “(검찰에 의해) 만들어졌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해 논란이 됐다. 김 위원장은 며칠 뒤 “알고 보니까 심각한 사건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했다.

그래픽=이철원

지난 16일 언론 인터뷰에서는 이낙연 전 대표를 향해 ‘당내 계파를 살려 정치하는 건 부적절하다’는 취지로 말해 이 전 대표 측으로부터 강한 반발을 샀다. 지난 20일 라디오 인터뷰에서는 당내 초선 의원들을 코로나19로 학력 저하를 겪은 학생들에 비유했다. 당시 김 위원장은 “초선이 코로나 때 딱 그 초선들이다. 소통이 잘 안 되는 느낌이 들었다”고 말했다. 민주당 초선 의원들은 “당황스럽고 황당한 발언” “이재명 대표도 초선이다”라며 불쾌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김 위원장의 좌담회 발언은 민주당 인사들의 과거 노인 비하 발언들도 소환했다. 2004년 3월 당시 정동영 열린우리당 의장은 총선을 앞두고 “60대, 70대는 투표 안 해도 괜찮아요. 곧 무대에서 퇴장하실 분들이니까 집에서 쉬셔도 되고”라고 말해 파장을 일으켰다. 유시민 전 장관도 같은 해 11월 강연에서 “50대에 접어들게 되면 죽어나가는 뇌세포가 새로 생기는 뇌세포보다 많다. 사람이 멍청해진다”며 “60세가 넘으면 책임 있는 자리에 있지 말자”고 말했다. 조국 전 장관은 2011년 부모님이 투표를 못 하게 여행을 보내드렸다는 트위터 메시지에 “진짜 효자”라고 해 비판을 받았다.

국민의힘 박대출 정책위의장은 페이스북에서 “어르신들에게 ‘미래 짧은 분들’이라니 민주당의 미래가 짧아질 뿐”이라며 “유불리만 따지는 정치 계산법이 빚은 막말 참사”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