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산하 선거구획정위원회가 내년 4월 총선에 적용할 선거구 획정안 초안을 5일 국회에 제출했다. 선거구 유권자 변동 사항을 기준으로 6개의 지역구를 줄였는데 현재 과반 의석을 가지고 있는 더불어민주당 현역 의원들의 지역구가 상당수 통합 선거구가 됐다. 이에 대해 민주당은 “합리성을 결여한 편파적인 안으로 결코 수용할 수 없다”고 한 반면, 국민의힘은 “큰 틀에선 동의한다”고 했다. 여야는 선거구 초안을 토대로 협상을 이어갈 전망이다.
이날 국회에 제출된 선거구 획정안 초안을 보면 6곳의 지역구가 줄었고 6곳의 지역구가 늘어 전체 253곳 지역구와 47석 비례대표를 합한 300명의 의원 정수에는 변함이 없다. 전체적으로는 서울과 전북에서 각각 1석이 줄어들었고, 인천과 경기에서 각각 1석이 늘어났다.
획정안 초안에선 인구 하한선(13만6600명)에 못 미치는 6곳의 선거구가 통합됐다. 구체적으로 서울 노원갑·을·병(민주당 고용진·우원식·김성환) 세 지역구가 노원갑·을 두 곳으로 줄었다. 부산 남구갑·을(국민의힘 박수영·민주당 박재호)도 부산 남구 한 곳으로 줄었다. 경기 부천시갑·을·병·정(민주당 김경협·설훈·김상희·서영석)은 부천시갑·을·병으로 한 곳 줄었다. 경기 안산시 상록구갑·을(민주당 전해철·김철민)과 안산시 단원구갑·을(민주당 고영인·무소속 김남국) 등 네 지역구는 안산시갑·을·병 세 곳으로 통합했다.
전북 정읍시 고창군(민주당 윤준병), 남원시 임실군 순창군(국민의힘 이용호), 김제시 부안군(민주당 이원택), 완주군 진안군 무주군 장수군(민주당 안호영) 등 지역구 네 곳이 세 곳으로 통합됐다. 전남 목포시(민주당 김원이), 나주시 화순군(민주당 신정훈), 해남군 완도군 진도군(민주당 윤재갑), 영암군 무안군 신안군(민주당 서삼석) 등 네 곳도 세 곳으로 합쳐졌다.
반면 선거구 인구 상한선(27만3200명)을 초과하는 선거구 6곳이 늘어났다. 부산 북구강서구갑·을(민주당 전재수·국민의힘 김도읍)은 북구갑·을과 강서구 등 세 곳으로 나누는 방안이 제시됐다. 인천 서구갑·을(민주당 김교흥·신동근)도 서구갑·을·병 세 곳으로 늘어났다. 경기 평택시갑·을(민주당 홍기원·국민의힘 유의동)은 평택시갑·을·병으로, 하남시(민주당 최종윤)는 하남시갑·을로, 화성시갑·을·병(민주당 송옥주·이원욱·권칠승)은 화성시갑·을·병·정으로 늘어났다. 전남 순천시 광양시 곡성군 구례군갑·을(민주당 소병철·서동용)도 세 곳으로 나뉘었다. 그 밖에 획정위는 전국 20곳의 지역구 내에서 구역과 경계를 새로 조정했다.
여야는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에서 획정위의 초안을 토대로 협상을 벌일 방침이다. 공직선거법에 따르면 선거일 1년 전인 지난 4월 10일까지 선거구 획정 작업을 끝냈어야 했다. 김진표 국회의장은 내년 총선 예비후보 등록일인 오는 12일 전까지라도 확정된 선거구를 담은 공직선거법 개정안을 본회의에서 통과시키겠다는 방침이지만 여야 입장 차 때문에 힘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국민의힘 정개특위 간사 김상훈 의원은 “정당별 유불리의 문제가 아닌 인구 변화에 따른 상·하한 기준에 맞춰 획정된 안이라 큰 틀에서는 동의한다”고 했다. 반면 민주당 조정식 사무총장과 정개특위 간사 김영배 의원은 기자회견을 열고 “부산 의석은 그대로고 오히려 전북을 줄이는 것은 도저히 납득할 수가 없다”며 “인구 대표성, 지역 대표성 등 원칙과 기준에 부합되지 않는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