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지난 24일 시험발사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두고 국방부는 신형인 ‘화성-17형’이 아닌 ‘화성-15형’으로 평가하고 있다고 29일 공식 발표했다. ‘화성-15형’은 북한이 2017년 11월 시험발사한 ICBM이다.
국방부는 이날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 제출한 현안보고 자료에서 지난 16일 이뤄진 ‘화성-17형’ ICBM 시험발사 실패를 만회하고 내부 결속을 다지기 위한 목적으로 ‘영상을 짜깁기’ 하는 등 미사일 기종을 속여 발표한 것으로 평가했다.
국방부가 해당 미사일을 화성-15형으로 판단한 근거는 비행 특성과 그림자, 기상, 기술적 요소, 한·미 평가 등 5가지다.
북한은 지난 2월 27일과 3월 5일에 ‘정찰위성 시험’이란 명분으로 사거리를 줄여 화성-17형을 시험발사했다. 지난 16일에도 화성-17형을 쏘아 올렸지만, 발사 직후 공중 폭발로 실패했다. 8일 후인 24일 평양 순안비행장에서 ICBM을 고각으로 발사한 북한은 “화성-17형 시험발사에 성공했다”고 25일 관영 매체를 통해 발표했다.
국방부는 “탄도미사일은 탄종별로 상승가속도, 연소·단분리 시간 등 고유의 비행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탐지된 특성을 정밀 분석한 결과 화성-15형과 유사한 것으로 평가한다”고 국방위에 보고했다. 또 북한이 공개한 발사 장면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참관 영상에 나온 그림자 방향을 분석한 결과, 영상 속 김 위원장의 그림자는 서쪽으로 생겨 오전 8~10시로 추정되지만 실제 발사 시간은 오후였다고 국방부는 밝혔다. 아울러 발사 당시 순안 일대는 대부분 구름으로 덮여 있었는데, 북측이 공개한 영상에선 청명한 날씨로 실제 발사 때 기상 상황과 일치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전에 찍어둔 영상을 짜깁기해 화성-17형 발사가 성공한 것처럼 조작했다는 얘기다.
국방부는 북한이 ICBM 발사 실패 후 8일 만에 재발사한 것에 대해서도 “화성-17형은 보다 복잡한 기술이 필요하다”며 “실패 원인을 분석하기엔 부족한 시간”이라고 평가했다. 또 “한·미 공조 회의에서 미국 측도 우리 측의 분석 기법과 평가 내용에 동의했다”며 “상세 분석을 진행 중인 미국 측도 화성-15형으로 단정하지는 않았지만 가능성이 크다고 평가했다”고 전했다.
국방부는 화성-15형을 화성-17형으로 속여 선전한 북한의 의도에 대해선 “지난 16일 발사 실패 장면을 평양 주민들이 목격한 상황에서 유언비어 차단과 체제 안정을 위해 최단시간 내 ‘성공 메시지’를 전달할 필요가 있었다”며 “2017년에 성공해 신뢰도가 높은 화성-15형을 대신 발사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대외적으로는 비행 제원을 기만해서라도 한·미와 국제사회에 ICBM 능력이 고도화됐음을 강변하고, 군사 강국 지위를 확보해 협상력을 제고하려는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미국의 북한 전문매체 NK뉴스는 북한이 16일 발사 후 폭파된 탄도미사일 잔해가 평양 인근에 떨어진 것이 사진과 증언으로 확인됐다며 다수의 목격자가 미사일 발사 실패가 있은 뒤 커다란 대형항공기가 비행하는 듯한 ‘비행음’을 들었으며 이어서 ‘꽝’하는 소리가 났다고 보도했다.
한편 군 당국은 북한이 향후 화성-17형을 다시 발사할 가능성이 있다고 국방위에 보고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