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당국은 4일 북한 무인기 영공 침범 후속 대응책으로 ‘합동드론사령부’를 창설하고 스텔스 무인기를 연내에 생산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사태에서 허점을 보인 드론 방공망을 보완하는데 그치지 않고 드론을 공세적으로 활용하겠다는 취지다.
군 관계자는 이날 “드론사령부의 작전 운용 개념이나 지휘구조, 편성, 전력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서 추진할 예정”이라며 “필요한 검토 과정은 많지만 이른 시일 안에 창설할 것”이라고 했다. 국방부는 스텔스 무인기, 소형 드론 등은 국방과학연구소(ADD)가 기존에 보유한 기술을 활용해 올해 안에 생산이 가능할 것이라고 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ADD는 체계개발을 하기 전에 다양한 기술을 개발한다”며 “스텔스 무인기 기술을 과거부터 자체적으로 해오던 것이 있었고, 연내 남은 시간 동안 최대한 집중해서 개발 속도를 높여서 해볼 수 있겠다고 판단했다”고 했다.
드론을 잡는 ‘드론 킬러’ 체계 개발도 가속화된다. 지금까지는 군단급 무인기 등 중대형 무인기 개발에 집중해왔지만, 이미 확보한 기술을 활용해 소형으로 만들면 신속하게 개발할 수 있다고 군 관계자는 밝혔다.
합동참모본부는 이번 북한의 소형 무인기가 2014~2017년 남하했던 것과 유사한 형태지만 비행고도, 속도가 변칙적이었다고 했다. 또 활주로가 아닌 발사대를 이용해 발사해 침투 징후를 알아내기 어렵다고도 설명했다. 합참은 “북한 도발상황 이후 합참전비태세검열과 합참·작전사 차원의 작전체계 전반에 대한 진단을 통해 현 작전체계상 문제점 식별을 완료했다”며 “이후 합참은 현재 가용한 탐지, 식별, 추적, 타격 자산들을 가장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필수 자산들의 배치·운용을 조정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