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 대통령실 청사 전경. /뉴스1

대통령실은 10일 미 정보기관이 한국 정부를 도감청했다는 의혹에 대해 “사실 관계 파악이 가장 우선”이라며 신중한 입장을 밝혔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양국의 상황 파악이 끝나면 우리는 필요할 경우 미국 측에 합당한 조치를 요구할 계획”이라며 “이런 과정은 한미 동맹 간에 형성된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한미 정상회담을 앞둔 시점에서 이번 사건을 과장하거나 왜곡해 동맹을 흔들려는 세력이 있다면 많은 국민에게 저항을 받을 것”이라고 했다.

야당에서 제기되는 ‘용산 대통령실 이전으로 대통령실이 도감청에 무방비가 됐다’는 주장 등을 겨냥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야당의 합당한 주장에 대해서는 늘 귀를 열고 받아들이겠지만, 이번 주장과 관련해선 팩트와 거리가 먼 게 너무 많다”며 “청사 보안 문제는 (대통령실을 용산으로) 이전해 올 때부터 완벽하게 준비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오히려 청와대 시절 벙커 구조는 지상으로 약간 좀 돌출돼 있기 때문에 대통령이 근무하는 곳 보안은 여기가 더 안전하다고 이야기할 수 있다”며 “NSC(국가안전보장회의)의 보안이나 안전은 청와대보다 용산이 더 탄탄하다”고 했다.

여권 관계자는 “대통령실은 문재인 정부 국방부가 있던 건물인데, 야당 주장대로라면 전 정부에선 안보 관련 기밀이 모두 뚫렸다는 말인가”라고 했다.

이와 관련, 국방부 전하규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용산 대통령실과 나란히 위치한 국방부와 합참 건물의 도감청 위험성에 관한 질문에 “국방부, 합참 건물에 대한 도감청 방지를 위해 필요한 조치는 충분히 이뤄져 있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