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은 31일 오전 8시 5분쯤 서해 어청도 서방 200여 km 해상에서 이날 발사된 북한 우주발사체 일부로 추정되는 물체를 식별해 인양 중에 있다고 밝혔다. 군은 북한이 군사 정찰위성 발사를 예고한 직후 대비태세를 강화하고 발사체 낙하 예상 지역 주변에 대기 중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군이 북한 발사체를 낙하 약 1시간만에 신속 인양한 것은 전례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합참에 따르면, 북한은 이날 오전 6시29분 평안북도 동창리 일대에서 남쪽 방향으로 우주발사체 1발을 발사했다. 발사체는 비정상 비행을 하다 전북 군산 어청도 서방 200여km 해상에 떨어졌다. 북한 국가우주개발국은 이날 “군사정찰위성 ‘만리경-1′호를 신형위성운반로켓 ‘천리마-1′형에 탑재해 발사했다”면서 “하지만 ’천리마-1′형은 정상 비행하던 중 1계단 분리 후 2계단 발동기(엔진)의 시동 비정상으로 하여 추진력을 상실하면서 서해에 추락했다”고 발표했다.
군이 북한 발사체를 낙하 1시간만에 인양하는데 성공한 것은 이례적이다. 군은 서해 인근 지역에서 경계 작전을 수행하다 북한 발사체가 낙하된 것을 확인한 직후 인양팀을 출동시켜 작전에 돌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군은 북한 발사체가 이날 오전 6시 29분쯤 발사돼 7시 5분 무렵 낙하한지 약 1시간이 지난 8시 5분쯤 어청도 서방 200여 km 해상에서 발사체 일부 물체를 식별했다. 합참 관계자는 북한 발사체의 낙하지점에 대해 “한중 잠정조치수역, 한국과 중국의 중간 해역 정도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잠정조치수역은 서해에서 한국과 중국 어선에 한해 신고 없이 자유롭게 조업할 수 있도록 허용된 수역을 말한다.
원통형인 물체의 표면에는 ‘점검문-13′이란 빨간색 글씨가 또렷하게 적혀 있는 상태였다. 군 관계자는 “낙하 물체 상태가 양호한 편이었다”면서 “훼손이 많이 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고 말했다. 군은 물체를 인양해 육지로 옮긴 뒤 정밀 분석에 들어갈 계획으로 알려졌다. 인양한 부유물은 1단 로켓과 2단 로켓 사이 원통형 연결단인 것으로 군은 추정했다.
합참 관계자는 이날 발사와 관련, ‘탄도미사일’이 아니라 ‘우주발사체’로 표현한 까닭에 대해 “탄두가 달려있어야 미사일”이라며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쏴 우주발사체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합참 관계자는 또 이번에는 과거에 비해 발사 절차가 빨리 진행됐는가라는 질문에는 “과거에 비해 빨라진 것이 맞다”며 “과거에 비해 발사 절차가 빨리 진행됐고, 그 절차에 대해 계속 추적하고 있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