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오후 경기도 평택 해군 제2함대 사령부에서 인양된 북한 우주발사체가 언론에 공개되고 있다./사진공동취재단

군이 지난 15일 오후 8시 50분 전북 군산 서쪽 240여㎞의 수심 75m 펄에 묻힌 북한 우주발사체 2단 추정 동체를 인양했다. 북한이 지난달 31일 발사한 우주발사체가 서해에 추락한 지 15일 만이다. 잔해 동체 표면에는 발사체 이름으로 추정되는 ‘천마’라는 두 글자와 날개 달린 말 형상의 검은색 그림이 그려져 있었다.

합참은 16일 “잔해물 길이는 12m로 지름은 2.3~2.8m”라고 했다.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다. 동체 내부에는 복잡한 기계 장비가 비교적 양호한 상태로 보존된 것으로 알려졌다. 군 관계자는 “분석 전에는 발사체 엔진이 있는지 등 잔해 내부 상황을 정확히 확인하기는 어렵다”면서도 “국방과학연구소(ADD) 등 전문기관의 정밀 분석을 통해 북한 발사체 수준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이번 발사체에 북한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엔진 등이 사용됐을 가능성이 있어 이번 잔해 분석이 북한 장거리 탄도미사일 기술 능력과 위성 발전 수준을 확인할 ‘열쇠’가 될 것으로 보인다. 군은 발사체 1단과 북한이 ‘만리경-1호’라고 명명한 군사정찰위성체가 탑재됐을 3단 등 추가 잔해도 인근 해역에서 수색 중이다.

그래픽=백형선
그래픽=백형선

군은 인양한 발사체 잔해를 경기 평택 해군 제2함대사령부에서 공개한 직후 군사 정보 기관에 넘겨 정밀 분석에 들어갔다. 군은 이날 광양함 선상에서 공개한 발사체 2단 추정 발사체 상·하 절단면 부위를 검은 차양막으로 밀봉했다. 군 관계자는 “북한 우주발사체 및 탄도미사일 각종 장비와 부품, 그리고 기술력 수준을 파헤칠 수 있는 부분인 만큼 정확한 분석 절차를 거칠 것”이라고 밝혔다.

합참이 공개한 발사체 잔해는 일부가 살짝 찌그러졌을 뿐 전반적으로 큰 손상 없이 온전한 상태였다. 인양된 2단부 동체 속에는 엔진과 연료통, 산화제통이 그대로 있을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전했다. 3단부로 이뤄진 발사체가 비행하면서 1단부가 분리됐고, 2단부가 점화에 실패하면서 그대로 해상으로 추락했는데도 동체 상태는 양호했다. 장영근 국가안보전략연구원 미사일센터장은 “인양된 잔해물은 엔진과 노즐, 연료 탱크, 산화제 탱크가 포함된 2단 추진체로 보인다”고 했다. 2단 엔진이 고스란히 있다면 신형 여부를 알 수 있다. 다만 군은 엔진이 달렸는지에 대해 “보안 사항”이라며 밝히지 않았다. 1단부 엔진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5형’ 또는 ‘화성-17형’과 동일한 것으로 추정되는 반면 2단 엔진은 새로 개발한 신형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합참이 공개한 사진에서 빨강·노란색 로프로 감긴 부분에 연료통과 산화제통이 들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동체 끝 체크무늬가 있는 부분 속에는 엔진 노즐 등이 있을 가능성이 크다. 건져 올린 2단부 일부 동체에서 연료통과 산화제통을 빼내 분석하면 로켓 추력과 비행거리 등을 계산할 수 있다. 국제사회의 강력한 대북 제재에도 로켓 부품을 중국이나 러시아 등 국외에서 도입했는지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번 동체 표면에 적힌 ‘천마’는 북한이 이번 발사체 발사 당시 발표한 ‘천리마’와 같은 뜻으로 보인다. 과거 북한이 ‘천마’와 ‘천리마’를 혼용한 적이 있기 때문이다.

군은 인양된 2단부 일부 동체 길이가 12m로 밝혀짐에 따라 북한이 지난달 31일 발사한 우주발사체 전체 길이가 38m 또는 40m 이상일 가능성도 있다고 추산했다. 신종우 한국국방안보포럼 사무국장은 “2단 동체 길이로 볼 때 발사체 전체 길이는 38m 또는 그 이상일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