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외곽에서 지난 19일(현지 시각) 러시아 공군 곡예 비행단 ‘러시안 나이츠’ 소속 수호이 Su-35S 전투기들이 곡예 비행을 하고 있다. 러시아가 북한에 신형 Su-35를 제공할 경우 한국 공군의 압도적 제공권이 타격을 받을 수 있다. /AP 연합뉴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북한에 대한 고정밀 무기 공급을 배제하지 않는다”고 하면서 북·러의 무기 거래가 어느 수준까지 높아질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전문가들은 러시아가 스텔스기 방공 체계인 S-400 미사일포대, 전투기 수호이 Su-35, 러시아제 극초음속 미사일 등의 무기 체계를 공급할 능력이 있다고 보고 있다.

양욱 아산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북한은 F-35A 같은 스텔스 전투기를 탐지·요격할 능력이 없는데, 이를 러시아의 S-400 도입으로 해결하고 싶을 것”이라고 했다. 러시아는 S-400 레이더와 전자 장비로 스텔스기 요격이 가능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래픽=박상훈

또 상대적으로 신형 전투기인 수호이Su-35를 북한에 공급할 경우, 한국이 절대적 우세를 갖고 있는 제공권에 타격을 입게 된다. 현재 북한은 노후화된 미그29 전투기를 중심으로 공군을 운용하고 있다.

북한은 ‘전략무기 5대 과업’ 이행을 위해 핵 추진 잠수함,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재진입, 정찰위성 및 위성발사체, 다탄두 각개 목표 설정 재돌입 비행체(MIRV), 극초음속 미사일 관련 기술 이전도 희망하고 있다. 첨단 군사 기술 및 무기 체계 이전은 러시아가 극히 꺼리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푸틴 대통령의 이날 발언으로 가능성이 어느 정도 생겼다는 평가다. 뉴욕타임스는 20일 보도에서 “김정은은 러시아로부터 첨단 핵탄두·미사일·핵잠수함·위성 기술을 이전받고자 한다”고 했다.

그래픽=박상훈

기술 이전 외에도 북·러의 연합 훈련 가능성도 제기된다. 지난 19일 북·러가 합의한 조약 2조는 “쌍방은 전략전술협동을 강화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전략전술협동’은 북·러의 육·해·공 연합 훈련이 포함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앞서 러시아는 지난해 7월 세르게이 쇼이구 당시 국방장관 방북 당시 연합 훈련을 제의하기도 했다.

군 정보 소식통은 “북·러가 연합 훈련을 한다면 양측 해·공군이 만나기 쉬운 동해 인근 해역에서 해상 훈련을 하는 방식으로 이뤄질 수 있다”고 했다. 기동 훈련은 물론 북한이 핵무기 투발이 가능하다고 주장하는 잠수함 ‘김군옥영웅함’에서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이나 함대함 미사일 발사를 실시할 가능성도 있다. 이 과정에서 러시아의 전투기·해상초계기도 동원될 수 있다. 다만 군 관계자는 “현재 북한 해군력은 구축함 한 척도 없을 정도라 의미 있는 연합 훈련이 진행되기는 어렵다”고 했다.

이 밖에도 핵 투발 능력을 갖춘 러시아의 전투기·전폭기가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에 진입하거나, 동해에 러시아 핵잠수함을 전개할 가능성도 있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러시아는 지난 12일 미국 턱밑인 쿠바 아바나항에 핵 투발 능력을 갖춘 핵추진잠수함 ‘카잔’호를 전개했다.

북한은 이에 대한 반대급부로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로 무기 수급에 애를 먹고 있는 러시아에 122mm·152mm 포탄과 단거리 탄도미사일(KN-23·KN-24), 600mm 초대형 방사포(KN-25) 등을 건네줄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일각에선 러시아가 북한을 사실상 재래식 무기 생산 기지로 활용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