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07특수임무단장 김현태 대령이 9일 오전 서울 용산구 국방부 전쟁기념관 앞에서 열린 기자회견에 앞서 입장발표를 하고 있다. 제707특수임무단은 지난 3일 밤 비상계엄 사태 당시 국회 진입을 위해 투입됐다. /연합뉴스

김현태 707특임단장(대령)은 9일 서울 용산 전쟁기념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민 여러분, 707 부대원들은 모두 피해자다. 김용현 전 국방장관에게 이용당한 가장 안타까운 피해자다. 부대원들은 죄가 없다. 죄가 있다면 무능한 지휘관의 지시를 따른 죄뿐”이라고 밝혔다. 707특임단은 지난 3일 12·3 비상계엄 당시 국회에 헬기 12대를 나눠타고 도착해 국회 진입 시도를 했던 계엄군 부대다. 국회 본회의장에 국회의원 150명이 되지 않도록 하라는 지시를 받은 부대이기도 하다.

그는 이날 “국회 국방위에 출석하여 제가 아는 모든 진실을 말씀드리고 싶었으나 기회가 없는 듯하여 이 자리에 섰다”고 했다. 그러면서 “부대원들에게 국회의사당으로 출동하라고 지시한 것, 국회의사당에 난입한 197명의 현장 지휘관도, 헬기를 타고 가장 먼저 국회에 도착한 것도, 건물을 봉쇄하라고 지시한 것도 저”라고 했다. 이어 “후문과 정문에서 몸싸움을 지시한 것도 저이고 창문을 깨고 건물 안으로 들어가라고 지시한 것, 건물 내에서 두 차례에 걸쳐 진입 시도를 지시한 것도 저”라고 했다. 그는 “계엄상황에서 국회활동이 보장돼야 한다는 것은 잘 몰랐다”고 했다.

그는 “지금 대원들이 많이 아파하고 괴로워하고 있다. 부대원들의 아내와 자녀들이 아빠의 뉴스를 보고 있다. 국민 여러분, 꼭 부대원들을 용서해 달라. 707 부대원들이 행한 모든 잘못을 지휘관인 제가 모두 지고 가겠다. 어떠한 법적인 책임이 따르더라도 모두 제가 책임지겠다”라고 했다.

그는 이날 계엄 준비가 사전에 이뤄졌던 정황이 있다는 취지 발언도 했다. 김 단장은 “서울지역 동시다발 테러에 대한 얘기를 듣고 3일 관련 훈련을 계획했다”며 “무기를 사용하지 않고 테이저건, 공포탄, 방패 등으로 하는 훈련을 하라고 (계엄 전)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이 매일같이 강조했다. (계엄 선포) 2~3일 전에는 ‘무슨 정보를 가지고 이런 말씀을 하실까’였다”고 했다.

그는 12·3 비상계엄 당시 관련 작전 상황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김 단장은 비상계엄 선포 사실을 “TV를 보고 알았다”면서 곽 전 사령관으로부터 국회 출동 명령을 받은 시간은 윤 대통령의 계엄령 선포 이후인 3일 오후 10시 30분경으로 기억한다고 밝혔다.

사령부의 최초 지시에 대해 그는 “바로 출동할 수 있느냐는 것이었고, 바로 가능하다고 했다. 그러자 ‘빨리 국회로 출동하라’면서 헬기 12대가 올 거라는 말을 들었다”고 말했다.

다만 헬기가 늦게 오면서 병력 투입이 늦어졌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 부대도 10시 넘어서 병력들을 퇴근시키고 있었는데 (헬기를 보내는) 특수작전항공단도 조종사를 집에 보낸 것 같았다”고 했다. 저희는 오후 11시 전에 집결했는데 제일 빠른 헬기가 오후 11시20분 넘어서 왔고, 제가 1번 헬기를 타고 이동했는데 오후 11시50분쯤 국회에 도착했다”고 했다. 일각에서 제기된 공역 통제 때문에 헬기 이동이 늦었던 것은 아니라는 취지다. 당시 헬기 12대에 707특임단원 8명씩 나눠 타고 이동했다고 한다. 첫 투입은 96명이었지만 상황이 종료되고 나니 707단원 197명이 와 있었다고 한다. 그는 국회 투입 이후 지형을 몰라 ‘티맵’을 켜고 작전 지시를 했다고 전했다.

그는 “1∼2분 간격으로 (곽종근 특수전사령관한테서) 전화가 왔고, ‘국회의원이 (의사당 안에) 150명을 넘으면 안 된다고 한다. 끌어낼 수 있겠느냐’는 뉘앙스였다”고 했다. 그는 관련 전화 통화를 4일 오전 0시에서 0시 30분 사이 한 것으로 기억한다고 했다. 김 단장은 “(계엄 해제 요구안) 가결을 우려했던 것 같다”며 “(사령관이) ‘의원이 늘고 있다, 150명 넘으면 안 된다, 진입이 되느냐’고 물으셔서 저는 ‘진입이 어렵다’고 했다”고 전했다. 그는 ‘의원 150명 지시’에 대해 “사령관이 말했고, 김용현 전 장관이 지시했던 것 같다”고 덧붙였다.

‘북한 관련 출동’이라는 말은 처음부터 없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북한이란 말은 전혀 없었다. 빨리 가서 국회를 봉쇄하고 확보하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했다. 김 단장은 국회 투입 당시 작전을 “비살상무기를 사용한 무력 진압 작전으로 규정하고 대원들에게 테이저건 1정, 공포탄, 방패, 포박 도구(케이블타이) 등을 휴대하도록 했다”고 덧붙였다. 국회에 저격수를 배치했다는 의혹에 대해선 평소 저격수 보직을 맡은 인원이 자신의 개인화기인 저격총을 휴대하고 출동했을 뿐 실제로 저격을 위한 부대 운용을 하지는 않았다는 취지로 설명했다.

김 단장은 이날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국방부 청사 건너편 전쟁기념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발언 도중 울먹이거나 코를 훌쩍이는 모습도 보였다. 신원이 기밀에 해당하는 그는 마스크나 선글라스 없이 나와 자신의 이름이 적힌 명찰을 달고 카메라 앞에 섰다. 그는 “민주주의 법치주의 국가의 군인으로서 잘못에 대한 모든 책임을 다하고 스스로 죄를 물어 사랑하는 군을 떠날 것”이라고 말했다. 김 단장은 “제가 아는 범위에서 사령관과 그 이하 모든 사람들은 김 전 장관에게 이용당한것”이라며 “(김 전 장관이) 많이 원망스럽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