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7일 전날 발사한 탄도미사일에 대해 “신형 극초음속 중장거리 탄도미사일 시험 발사에 성공했다”고 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그 어떤 조밀한 방어 장벽도 효과적으로 뚫고 상대에게 타격을 가할 수 있다”며 “태평양 지역의 임의의 적수들을 믿음직하게 견제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미국 트럼프 2기 출범을 앞둔 상황에서 북한이 한미 미사일 방어 체계(MD)를 무력화하는 신무기를 개발했다고 주장한 것이다. 북은 이 미사일이 ‘2차례 상승·하강’하는 변칙 기동을 했다고 주장했으나, 우리 군은 북의 기만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미사일의 극초음속활공비행전투부(탄두)는 음속의 12배에 달하는 속도”였다며 “1차 정점 고도 99.8㎞, 2차 정점 고도 42.5㎞를 찍었으며 1500km 비행해 공해상 목표에 정확히 탄착됐다”고 했다. 북한이 공개한 모니터링 화면을 볼 때 미사일은 발사 후 상승한 다음 1차 정점에 이르렀고, 이를 전후해 분리된 탄두가 활공하며 하강과 상승을 반복해 2차 정점을 찍은 뒤 종말 단계에 접어든 것으로 추정된다고 전문가들은 해석했다.
극초음속 미사일은 통상 대기권 내에서 탄착지까지 마하 5 이상으로 비행하면서 일반적인 포물선 궤도가 아닌 변칙적 움직임을 보이는 특징을 갖는다. 포물선 궤도 미사일을 상정하고 만들어진 기존 MD 빈틈을 파고드는 무기다. 조선중앙통신은 “전장의 판도를 바꾸는 수단, 즉 누구도 대응할 수 없는 무기 체계”라고 했다. 현재까지 극초음속 미사일 개발을 마친 국가로는 미국·러시아·중국 정도가 꼽힌다.
군 소식통은 “이번 비행거리(북한 주장 1500㎞)는 6차례에 달하는 극초음속 미사일 발사 시험 중 가장 길다”며 “평양에서 일본 오키나와 주일 미군 기지가 타격 범위 내에 들어온다”고 했다. 북한 극초음속 미사일은 중장거리 탄도미사일(IRBM)급으로 알려진 만큼 약 3000㎞ 떨어진 괌 미군 기지도 사정권에 들 수 있다.
하지만 합참은 북한의 주장이 과장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합참 관계자는 “한미 분석에 따르면 비행거리는 1100㎞였고, 2차 정점 고도는 없었다”고 했다. ‘하강과 추가 상승’ 같은 변칙 기동이 없었다는 뜻이다.
북한은 지난해 4월 발사 때도 ‘두 차례 정점을 찍으며 1000㎞ 비행했다’고 발표했지만, 한미 당국은 1차 정점 이후 수평으로 기동하다가 하강하는 궤적으로 비행거리도 600㎞에 불과했다고 평가했다.
한편 군 당국은 북한은 지난해 8월 전방에 배치하겠다고 공언한 신형 근거리탄도미사일(CRBM) 이동식 발사대(TEL) 250대를 배치하려는 움직임을 포착한 것으로 전해졌다. 강대식 국민의힘 의원에 따르면, 국방정보본부는 “탄도미사일 작전 배치 준비를 위한 정황이 식별되고 있다”고 했다. 해당 TEL은 발사관이 대당 4개씩 있어 이론적으로 사거리 110㎞ 안팎 탄도미사일 1000발을 순식간에 퍼부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