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을 불과 6일 앞두고 국민의힘 윤석열 대통령 후보와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의 단일화가 극적으로 이뤄지면서 이로 인한 판세 변화 여부가 최대 관심사로 떠올랐다. 야권 단일화 직전에 실시된 각 여론조사에선 윤 후보가 단일화 효과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와 차이가 벌어지는 결과도 있지만, 오히려 차이가 좁혀지는 조사도 있었다. 조사마다 단일화 효과가 한쪽으로 뚜렷하지 않고 선두 경쟁이 엎치락뒤치락하는 혼전 양상이었다.
한국경제‧입소스 조사(3월 1∼2일, 전국 성인 1000명)에선 단일화로 야권이 유리해졌다. 안 후보를 포함한 다자 대결은 윤 후보(44.3%)와 이 후보(40.7%) 차이가 3.6%포인트였지만, 윤 후보로의 야권 단일화를 가상한 대결에선 윤 후보(48.9%)와 이 후보(42.8%) 차이가 6.1%포인트로 커졌다. 야권 단일화로 윤 후보는 4.6%포인트 올랐지만 이 후보는 2.1%포인트 상승에 그쳤다.
서울경제‧칸타코리아 조사(2월 27일~3월 1일, 전국 성인 1028명)는 단일화 효과가 미미했다. 다자 대결은 윤 후보(44.1%)와 이 후보(34.1%) 차이가 10%포인트였고, 야권 단일화를 가상한 조사는 윤 후보(49.0%)와 이 후보(38.3%) 차이가 10.7%포인트였다. 단일화로 윤 후보가 4.9%포인트 상승했지만, 이 후보도 4.2%포인트 올라서 단일화 효과는 0.7%포인트에 그쳤다.
야권 단일화로 윤 후보와 이 후보 차이가 좁혀진 조사도 있다. 머니투데이‧한국갤럽 조사(3월 1~2일, 전국 성인 1005명)에서 다자 대결은 윤 후보(40.6%)와 이 후보(39.2%) 차이가 1.4%포인트였고 안 후보 9.0%, 심 후보 2.1%였다. 야권 단일화를 가상한 3자 대결에선 윤 후보(42.5%)와 이 후보(42.2%) 모두 지지율이 오르면서 차이가 0.3%포인트로 좁혀졌고, 정의당 심상정 후보(7.3%)도 지지율이 올랐다. 안 후보 지지층이 윤 후보는 물론 이 후보와 심 후보 쪽으로도 분산됐다.
단일화 효과에 대한 여야의 주장도 엇갈렸다. 민주당 우상호 선거대책위 총괄본부장은 “이 후보 찍기를 주저했던 분들, (단일화) 행위가 적절치 않다고 생각하는 부동층이 결집할 것”이라고 했다. 반면 국민의힘 권영세 선대본부장은 “단일화로 국민적 염원인 정권 교체가 성큼 가까워졌다”면서 “그래도 우리가 해이해지는 일이 없어야 한다”고 했다.
전문가들의 견해도 일치하지 않았다. 한 여론조사 전문가는 “야권 단일화는 선거 패배 위기감이 커진 여권 지지층을 결집시키고 이들의 투표율을 높이는 자극제가 될 수도 있다”고 했다. 하지만 정치적 이벤트 직후 지지율이 오르는 ‘컨벤션 효과’를 야권이 누릴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 김형준 명지대 교수는 “안 후보 지지자 중에는 거대 양당이 싫어서 그를 지지하는 유권자와 안 후보가 어떤 결정을 해도 존중하는 유권자가 절반씩 있다”며 “전자는 투표를 포기하거나 심 후보로 이동하겠지만 후자는 윤 후보로 이동할 것”이라고 했다.
◇조선일보‧TV조선 마지막 조사는 尹 우세
야권 단일화가 성사되기 직전인 1~2일 실시한 조선일보‧TV조선 조사에선 안 후보를 포함한 다자 대결 지지율이 윤 후보 40.1%, 이 후보 33.8%, 안 후보 7.2%, 심 후보 2.2%였다. 2월 23~24일 조사에선 윤 후보(36.5%)와 이 후보(34.9%)의 차이가 1.6%포인트였지만 6.3%포인트로 벌어졌다. 칸타코리아에 의뢰해 전국 유권자 1009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89.9%)와 집전화(10.1%) 임의전화걸기(RDD)를 활용한 전화 면접원 방식으로 조사했다. 표본은 2022년 2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기준으로 성·연령·지역별로 할당 추출했으며, 인구 비례에 따른 가중치(셀 가중)를 부여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 응답률은 12.6%다. 기사에 인용된 자료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