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임명된 감사원 감사위원인 김영신 신임 감사위원이 취임사에서 “부당한 감사 저항과 왜곡에 맞설 수 있는 감사원 구성원이 되겠다”고 밝혔다.
감사원에 따르면 지난 16일 취임한 김 위원은 취임사를 통해 “감사를 오해하거나 저항하는 행태는 어디에서나 볼 수 있고, 이를 헤쳐 나가야 하는 것은 감사자의 숙명”이라며 이 같이 말했다. 김 위원은 “정의로운 감사에도 늘 그런 장애물이 있기 마련”이라며, “그런 파고에 때로는 설득으로, 때로는 정면으로 당당하게, 또 의연하게 맞설 수 있는 저력과 의지를 우리 감사원은 갖고 있다”고 했다.
김 위원은 최근까지 감사원 사무처에서 공직감찰본부장을 역임하면서, 문재인 정부 시절 임명된 전현희 전 국민권익위원장과 권익위에 대한 감사를 총괄했다. 전 전 위원장과 더불어민주당은 감사원 감사가 전 전 위원장을 물러나게 하기 위한 ‘표적 감사’라고 주장하고, 김 위원을 비롯한 감사원의 권익위 감사 관계자들을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에 고발하기도 했다.
김 위원을 비롯해 총 6인의 감사위원들은 감사원장과 함께 감사위원회의를 구성해 감사원의 주요 감사 계획과 감사 결과 등을 다수결로 심의·의결한다. 감사원 사무처가 작성한 감사 보고서는 감사위원회의 의결을 거쳐야만 시행·공개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김 위원은 “어떤 외풍에도 흔들리지 않고 증거와 논리에 따라, 그리고 투명한 방식으로 업무를 하도록 하겠다”고 다짐했다. 그는 “다만 소신 있게 하되, 고집 피우지는 않으며 상대의 의견도 잘 듣도록 하겠다. 감사 대상 기관과 사무처의 주장도 이해하고 경청하겠다”고 했다. 그러면서도 “그러나 모든 판단은 저 스스로의 이성과 양심에 따라 하고자 한다”고 했다.
김 위원은 “감사원은 외부의 저항과 불의에 맞서 정의롭고 또 의연하게 묵묵히 제 갈 길을 갔기에 국민으로부터 신뢰를 받았고, 우리 감사원 직원들도 감사원에 근무한다는 것이 큰 자부심이었다”며, “국민의 신뢰와 우리 직원들의 자긍심에 흠이 가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도 강조했다.
반면 김 위원의 전임 감사위원으로 지난 15일 퇴임한 유희상 전 감사위원은 이임사에서 “공직사회에 공포감을 조성하는 감사 방식은 합법을 빙자한 폭력일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유 전 위원은 “감사원은 사정기관의 의미보다는 행정의 효율성을 확보하는 기관에 무게중심이 있다”며, “공직자에게 두려움보다는 따스한 말 한마디가 신뢰받는 감사원을 지속 가능하게 하는 열쇠가 될 수 있다”고 했다.
유 전 위원은 감사원 사무처 출신으로, 문재인 정부 때인 2019년 임명됐고 4년 임기를 끝으로 퇴임했다. 유 전 위원 재직 중 감사원 사무처와 감사위원회의는 권익위 감사 결과를 두고 충돌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 유 전 위원은 “우리 구성원들 사이의 약간의 균열과 밖에서나 볼 수 있는 일부 팬덤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 걱정스럽다”며, “감사위원과 사무처 간 소통을 활성화해 주기를 간곡하게 부탁드린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