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보건부 산하 '가말레야 국립 전염병·미생물학 센터'가 자국 국부펀드인 '직접투자펀드(RDIF)'의 지원을 받아 개발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스푸트니크 V'.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최근 외교부에 러시아가 개발한 ‘스푸트니크 V’ 백신 관련 정보를 수집해달라고 요청했다. 정부가 백신 부족 사태에 스푸트니크 V 도입을 추진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식약처는 지난 15일 외교부에 공문을 보내 스푸트니크 V 백신을 접종 중인 러시아와 알제리, 멕시코 등 12국(國)을 대상으로 백신 안전성 정보를 수집해달라고 요청했다고 국민의힘 백종헌 의원이 밝혔다. 혈전증(血栓症) 같은 백신 접종 이후 주요 이상 반응 등을 조사해달라는 것이다. 스푸트니크 V는 러시아가 지난해 8월 세계 최초로 승인한 코로나 백신으로 현재 58국이 사용을 승인했다.

식약처는 지난달 “스푸트니크 V 공급 담당 펀드로부터 의약품 등록을 위한 공식 서류를 받은 적이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도 지난 2월 “스푸트니크 V에 대해 계약이 진행되고 있는 것은 아니고 가능성을 열어두고 검토하고 있다”는 정도로 언급했다.

그러나 이후 정부 내에선 러시아 백신에 대한 안전성을 검토하는 등 도입에 속도를 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문재인 대통령도 최근 비공개 참모 회의에서 스푸트니크 V 백신을 포함한 다른 나라 백신의 안전성에 대해 검토를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아스트라제네카·얀센 백신 등이 혈전 논란에 휩싸이고 5월 도입 예정이던 모더나 백신 수입이 하반기로 밀린 까닭이다. 이재명 경기지사는 이날 “러시아 백신의 공개 검증을 청와대에 요청했다”고 밝혔다. 더불어민주당 송영길 의원도 “스푸트니크 V 도입 등 플랜 B 추진도 필요하다”고 했다.

초저온 보관이 필요한 화이자·모더나와 달리 스푸트니크 V는 일반 냉장 보관이 가능해 유통이 쉽다. 국내 업체가 위탁 생산하고 있어 빠른 보급도 가능하다. 그러나 임상 3상이 끝나기 전에 러시아가 사용을 허가해 안전성이 더 확보되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혈전 증상이 발생한 아스트라제네카, 얀센처럼 ‘아데노바이러스 벡터(전달체)’를 사용한 백신이란 점도 안전성에 변수로 지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