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진석 대통령 비서실장이 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운영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뉴스1

대통령실은 1일 국회와의 소통을 전담할 정무장관직을 신설하는 내용을 담은 정부조직법 개정안을 이달 중 발의하겠다고 밝혔다. 9월 시작되는 22대 국회 첫 정기국회를 앞두고 야당과 소통을 강화하겠다는 윤석열 대통령의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정진석 대통령 비서실장은 이날 국회 운영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정무장관직 신설 방침을 밝히면서 “앞으로 주요 정책 현안과 국정 현안들에 대해서 의원님들의 의견을 충분히 경청하고 또 충분히 설명해 드리고 지속적으로 협의해 나가겠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 4·10 총선 이후 “정치하는 대통령이 되겠다”며 대통령실의 정무 역량 강화를 모색해왔다. 정무수석실을 기존 3비서관에서 4비서관 체제로 확대했고, 정무1비서관에 재선 출신 김명연 전 의원을 임명했다. 윤 대통령은 특히 여소야대(與小野大) 의석 구도에서 야당과의 소통이 중요하다고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래픽=양인성

정무장관은 박정희 정부 때인 1970년 무임소(無任所) 장관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설치됐다. 전두환 정부 들어 정무장관으로 명칭이 변경된 뒤 김영삼 정부까지 이어졌다. 김대중 정부 때 폐지됐으나, 2008년 이명박 정부가 출범하면서 특임장관이라는 이름으로 부활했다. 이후 박근혜 정부가 들어선 2013년 폐지됐다가 11년 만에 다시 부활이 추진되는 것이다.

정무장관은 대통령과 국회, 특히 야당과의 가교 역할을 하는 자리라 주로 정권 실력자들이 맡아왔다. 전두환 정부 때 노태우 전 대통령이 정무장관을 지냈다. 노태우 정부 시절엔 김윤환 전 의원이, 김영삼 정부 때는 김덕룡·서청원 전 의원 등 정권 주류 핵심 인사들이 정무장관을 맡았다. 이명박 정부 때는 주호영 현 국회부의장과 당시 정권 ‘이인자’로 꼽힌 이재오 전 의원이 특임장관을 지냈다.

이번에도 정부조직법 개정으로 정무장관이 신설되면 윤석열 정부 실세 정치인이 임명될 가능성이 크다. 여권 고위 관계자는 “아직 정무장관 후보군은 정해지지 않았다”며 “국회 논의 상황을 봐가며 절차를 진행할 것”이라고 했다. 일각에서는 “윤 대통령과 가까우면서도 정치 경험이 많은 다선 의원 출신이나 현역 의원이 정무장관을 맡게 될 가능성이 있다”는 말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