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러스트=양인성

최근 3년 사이 국내산으로 위장한 중국산 감시 카메라가 군과 경찰 등에 3만대 가까이 설치된 것으로 나타났는데, 우리 해외 공관의 감시 카메라도 10대 중 3대꼴로 중국산인 것으로 파악됐다. 해외 재외공관 역시 외교 기밀을 취급하는 주요 보안 시설인 만큼 해킹 가능성을 원천 차단하는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3일 국민의힘 안철수 의원이 외교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대사관·대표부·총영사관 등 해외 재외공관 167곳에 설치된 감시 카메라는 총 6260대인데 그중 1743대(27.8%)가 중국산인 것으로 집계됐다. 중국산 감시 카메라 설치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구주(유럽) 재외공관(48곳)으로 1456대 가운데 533대(36.6%)가 중국산이었다. 아프리카·중동 재외공관(37곳)은 중국산 감시 카메라가 1432대 중 443대(30.9%), 미주 재외공관(35곳)은 1315대 중 332대(25.2%), 아주 재외공관(47곳)은 2057대 중 435대(21.1%)로 나타났다. 외교부 본부에선 중국산 감시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

투표함 보관 장소 카메라는 괜찮을까 - 13일 서울 종로구 서울시선거관리위원회에 10·16 서울교육감 보궐선거 투표함 보관 장소를 촬영 중인 감시 카메라 화면 모니터가 설치돼 있다. /연합뉴스

외교부는 “재외공관 감시 카메라는 보안 관련 규정에 따라 해킹 방지를 위해 외부망과 분리 설치 등 안전하게 운영되고 있다”며 “감시 카메라 보안성 제고를 위해 사용 연한과 관련 법령, 현지 실정 등을 고려해 중국산 감시 카메라를 순차적으로 교체 중”이라고 밝혔다. 안철수 의원은 “해킹에 대한 모든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 조속히 중국산 감시 카메라를 국산으로 완전 교체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한편, 최근 3년간 주요 공공기관과 학교·병원·어린이집 같은 공공시설에 국내산으로 위장한 중국산 감시 카메라 2만9962대가 설치된 것으로 확인됐다. 미국·영국·호주 등 주요 국가는 정부 차원에서 주요 기관 등에 설치된 중국산 감시 카메라를 철거하는 가운데, 국내에서도 감시 카메라 관리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대처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