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자살률이 가장 높은 반면, 우울증 치료는 최저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런 불균형은 정신과 진료 환자 본인과 사회의 편견 때문이란 분석이 나오고 있다.

OECD가 18일 공개한 '한눈에 보는 보건(Health at a Glance) 2015'에서 한국의 하루 항우울제 복용량은 인구 1000명당 20DDD(의약품 하루 소비량·2013년 기준)로 28개 조사 대상국 가운데 칠레에 이어 둘째로 낮았다.

OECD 항우울제 하루 평균 소비량은 1000명당 58DDD로 한국의 2.9배였다. 아이슬란드(118)와 호주(96)가 항우울제 소비량이 많았다. 한국은 항우울제 사용량이 최저 수준인 반면 감기에 걸렸을 경우 항생제 사용량이나 당뇨 치료약 사용량은 높은 편이었다.

한편 한국의 작년 자살률은 6년 만에 가장 낮은 수치였는데도 스스로 목숨을 끊은 이가 1만3836명이었다. OECD 통계(2013년)에서도 자살률은 인구 10만명당 29.1명으로 34개 조사 대상국 중 가장 높았다.

이나미 정신과 전문의는 "우울증을 초기에 치료할 경우 완치 확률이 매우 높지만 이를 방치해 악화될 경우 극단적 선택을 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말했다. 이창한 정신과 전문의는 "진찰 기록이 '딱지(낙인)'로 남아 취업·결혼 등에 불이익을 받을 것이란 근거 없는 두려움, 정신과 환자를 보는 사회의 부정적 시선 때문에 병을 키우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