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놈들의 난동

1871년 신미년 6월 1일 존 로저스 제독이 지휘하는 미국 아시아함대 군함 5척이 강화도에 도착했다. 군함에는 해군과 해병대 1230명이 승선해 있었다. 미군은 강화도와 김포 사이 염하(鹽河)를 북상하며 조선군 병영인 초지진을 함포로 박살내고 덕진진을 무혈점령하고 광성보에서 백병전 끝에 조선군을 전멸시키고 퇴각했다. 신미양요(辛未洋擾), '신미년에 양놈들이 벌인 소동'이라고 한다.

미군이 강화도를 습격한 이유가 있었다. 5년 전인 1866년 대동강에서 벌어진 일이다. 그때 대동강 하구에 미국 상선 제너럴셔먼호가 나타나 평양까지 올라가 통상을 요구했다. 평안감사 박규수는 조선 국법에 따라 통상은 금지돼 있으니 돌아가라고 명했다. 명을 거부하자 박규수는 제너럴셔먼호를 불태워버렸다. 그 복수극이 신미양요였다.

신미양요 5년 전인 병인년에는 불란서 양놈들이 강화도에 와서 난동을 부렸다. 신미양요가 터지고 4년 뒤, 이번에는 '왜놈'들이 와서 난동을 부렸다. 그리고 이듬해 1876년 겨울 조선은 이 왜놈들과 조약을 맺고 문호를 개방했다. 이를 조일수호조규, 통상 강화도조약이라고 한다. 자, 명분에 대한 맹목적인 의지와 현실에 대한 무지가 만나면 무슨 일이 벌어지는지 이제 알아본다.

고종 이명복과 메이지(明治) 무쓰히토

1867년 일본은 막부 정치를 청산하고 왕정을 복고했다. 열다섯 살 먹은 무쓰히토(睦仁)가 천황 자리에 올랐다. 왕명은 메이지(明治)라 했다. 조선에서는 4년 전 26대 왕이 등극했다. 아명은 이명복, 고종이다. 무쓰히토와 동갑이다. 동갑내기 최고 권력자 행로는 많이 달랐다. 고종 대신 아버지 흥선대원군 이하응이 권력을 잡았다. 무쓰히토는 왕정 세력과 함께 개혁을 단행했다. 메이지유신이다. 1854년 함포로 무장한 미국에 강제로 개항을 한 이래 막부 권력자들이 최종적으로 선택한 결론이었다. 그때 세상은 이러했다.

아편에 무너진 천하(天下)

영국은 인도에서 생산한 아편을 중국에 팔아먹고 있었다. 1839년 흠차대신 임측서가 광동성 호문강가에 모아놓은 아편 2만1000상자에 생석회를 뿌리고 바다에 던졌다. 중국에는 부도덕하고 비생산적인 물품이었고 영국에는 막대한 이득이었다. 이득이 도덕을 이겼다. 전쟁이 터졌다. 그리고 천하의 중국이 영국에 졌다. 1842년 상해와 남경까지 함락당한 청나라는 홍콩을 내주고 배상금을 지불하고 패전을 선언했다. 남경조약이다. 천하의 중심인 중국이 최신 무기로 무장한 서양 오랑캐에게 굴욕을 당했다.

인천광역시 강화도 초지대교 옆에는 조선시대 해군부대 초지진이 있다. 1871년 신미양요 때 포격을 맞은 흔적이 소나무와 성벽에 남아 있다. 1875년 일본은 이 초지진을 습격한 뒤 이듬해 조선과 강화도조약을 맺었다.

천하(天下)는 사라졌다. 대신 냉혹한 국제정치가 시작됐다. 그 풍경을 조선도 보았고 일본 막부 정권도 보았다.

사신으로 중국을 오갔던 조선 관료들은 왕에게 이렇게 보고했다. '대단한 걱정거리는 아니나, 소요는 적지 않다.'(동지사 정사 박회수, '일성록' 헌종 7년 1841년 3월 19일) '이미 화친하였다 하며 토색질(侵漁之弊)은 없다.'(동지사 이최응, '일성록' 헌종 9년 1843년 3월 29일) 이들이 정보를 얻는 경로는 청나라 정부 관보(官報)인 경보(京報)가 대부분이었다. 내용과 배포 모두 통제가 얼마든지 가능했다.(하정식, '구미 열강의 중국 침략과 조선의 반응') 조선 정부는 심각성을 깨닫지 못했다. 일본은 달랐다.

그때 일본은 '접근하는 모든 외국선에 대해 두 번 생각할 것 없이 무조건 격파령(異國船無異念打拂令)'을 시행 중이었다. 그런데 유일한 개방항인 나가사키에서 네덜란드 상인들로부터 객관적인 전황을 입수했다. 영국군이 청군을 압도했다는 소식, 중국이 영토를 빼앗겼다는 소식이 속속 들어왔다. 중국 천하 붕괴 소식에 일본은 1842년 7월 무조건 격파령을 해제했다. 대신 물과 장작을 주고 돌려보내는 신수급여령(薪水給與令)을 내렸다. 막강한 서구 세력과 충돌하지 않으려는 조치였다.(강진아, '동아시아의 개항: 난징조약에서 강화도조약까지') 12년 뒤 일본은 미국과 수교했다.

징조를 무시한 조선

1867년 2월 청나라 예부에서 조선 정부에 비밀 전문을 보내왔다. 내용은 이러했다. '중국에서 발행된 신문에 야도 마사요시(八戶順叔)라는 일본인이 기고한 글에 따르면, 지난해 병인양요 때 당한 패배를 복수하기 위해 프랑스가 다시 공격할 것이다. 프랑스만 아니라 일본 또한 화륜선 80여 척을 건조해 조만간 조선을 칠 것이다.'(동문휘고, '양선정형' 1867년 2월 19일) 조선 정부는 일본 막부 정권에 "유언비어가 아닌가" 하고 문의했다. 청나라에 "근래에 서양 여러 나라에서 번갈아 침입해 오는 바람에 걱정을 끼쳐드리고 있다"는 사례도 잊지 않았다.

일본의 개항 요구

1868년 왕정으로 돌아간 일본 정부는 조선에 개국을 요구했다. 대마도와 동래를 통해 이뤄지던 교역을 국가 간 교역으로 정상화하자는 제안이었다. 일본 사신 다이라노 요시아키라가 들고 온 수교 문서에 '皇室(황실)' '奉勅(봉칙)' 따위 단어가 들어 있었다. 문서를 받은 동래부 왜관훈도 안동준은 '놀랍고 괴이하다(大覺駭異)'며 문서 접수를 거부했다. 황제는 오직 하나고 일본은 오랑캐였다. 이후 지루한 수교 협상이 8년 동안 진행됐다.

강화도조약을 맺은 연무당 터.

대원군 정권은 철저하게 쇄국을 고수했다. 자기 아버지 묘를 독일인 오페르트가 도굴한 사건(1868년 오페르트 도굴 사건)까지 터지자 쇄국은 강화됐다.

1871년 일본이 청나라와 수호조약을 맺었다. 그해 미 해군이 강화도를 쑥대밭으로 만들고 사라졌다. 이듬해 대원군은 동지사 민치상으로부터 "일본은 이미 청 황제에 대해 칭신(稱臣)하지 않는 듯하다"는 보고를 받았다.('승정원일기' 1872년 4월 4일) 대원군은 일본은 곧 서양 오랑캐(倭洋一體)라고 규정했다. 1873년 일본 외상 소에지마(副島種臣)가 청나라 실력자 이홍장을 면담했다. 소에지마는 '조선과 일본 관계에 청은 간여하지 않는다'는 확약을 받았다. 일본은 주도면밀했다. 1874년 일본은 타이완을 침략했다.

'양복을 입었으니 왜놈도 양놈'

1873년 대원군이 실각하고 고종이 직접 권력을 잡았다. 쇄국의 지도자가 없으니, 일본은 다시 개항을 요구했다. 수시로 어전회의가 열렸다. 제너럴셔먼호를 불태웠던 박규수가 이리 말했다. '대마도주가 황제요, 칙서요 한 것은 그들 자신이 높여서 부른 것이지 결코 우리나라에서 그렇게 불러달라는 요구는 아니다.'('고종실록' 1874년 6월 29일) 대원군에게도 박규수는 이렇게 말했다. '저네들 나라 정령(政令)이 일신되어 과시한 것뿐이다. 우리에게 무슨 상관인가?'(1874년 대원군에게 보낸 편지 答上大院君, 박규수전집) 박규수는 북학파 실학자 연암 박지원의 손자다.

하지만 대세는 명분이었다. 개항 내용은 뒷전이었다. 천하에 태양이 둘일 수 없고 일본에 황제가 있으면 질서가 깨진다. 그사이에 청나라에서 또 비밀 정보 보고가 들어왔다. '프랑스 제독 지켈의 의견에 따르면 일본이 타이완 정벌을 수행한 군사 5000명으로 장차 조선을 정벌하려 한다. 프랑스와 미국도 조선과의 관계가 미해결 상태라 일본을 도울 것이다. 서둘러 프랑스·미국과 통상관계를 체결하라."('고종실록' 1874년 6월 24일)

1875년 2월 조·일 국교 교섭이 재개됐다. 여전히 문서에는 '大日本(대일본)' '皇上(황상)'이라 적혀 있었다. 게다가 일본 교섭관인 모리야마 시게루(森山茂)는 양놈과 똑같은 양복을 입고 있었다. 교섭은 또 결렬됐다. 결국 일이 터지고 말았다.

운요호사건과 강화도조약

1875년 5월 일본 군함 운요호가 부산에 입항했다. 9월 20일 운요호는 강화도 초지진을 공격했다. 4년 전 미군이 파괴했던 그 부대였다. 넉 달 전 열린 전현직 대신회의에서 박규수는 이렇게 말했다. '그 나라에서 황제라고 칭한 것은 주나라부터 수천여 년이 되었다.'('승정원일기' 1875년 5월 10일) 고종 생각이 바뀌기 시작했다.

이듬해 일본에서 모리야마 시게루(森山茂) 일행이 강화도에 왔다. 군함을 타고 왔다. 명칭은 변리대신. 자기네 '피해'를 조사하고 판정하겠다는 것이다. 조선 정부는 무관 출신 관료 신헌을 보냈다. 명칭은 '접견대관'이었다. 의전이 당초 목적이었다. 고종은 접견대관으로 나간 신헌에게 전권을 위임했다.

강화도 병영 연무당에서 신헌과 모리야마는 8년을 끈 교섭 협상을 사흘 만에 끝냈다. 모리야마는 신헌에게 13조로 된 조약 초안을 내밀었다. 황제라는 명칭은 쓰되, 이름은 쓰지 않는다는 조건을 일본이 받아들였다. 신헌이 이렇게 기록했다. '大' 자와 '황제 폐하'와 '국왕 전하'를 지웠다. 일이 타당하게 되었다.(신헌, '심행일기') 신헌이 조정에 보낸 조약 초안 나머지 조항은 모조리 통과됐다.

이로써 조선은 일본을 황제라 부르지 않게 되었다. 조선 내 일본인 범죄자는 일본 관리가 관할하는 치외법권을 누리게 되었고(10조) 해안을 마음대로 항해하며 지도를 작성하게 되었다(7조). 13개 조항에 분명하게 적혀 있는 이들 불평등 내용에 대해 조선 정부는 전혀 개의치 않았다. 황제라 부르지 않게 됐으니까. 그 날이 1876년 2월 27일이었다. 명분에 눈이 가려, 모든 것을 잃은 날이었다.

*

떠나던 날, 일본 측 수행원 미야모토 오카즈(宮本小一)가 신헌에게 말했다. '귀국은 마치 깊은 산속에 있는 것과 같아서 국외(局外)의 일은 돌아보지 않았다. 이제 각성한 이후 후회할 만한 부분이 있을 것이다.'('심행일기') 이후로 오래도록 조선은 무엇을 상실했는지 알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