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태어난 신생아 35만7700명 중 2만854명이 정부 지원 난임 시술을 통해 태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00명 중 6명꼴(5.8%)이다. 보건복지부가 국회 김명연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전체 신생아 중 정부 지원 난임 시술을 통해서 태어난 아이의 비율은 2013년 3.3%에서 지난해 5.8%까지 4년간 1.8배 늘었다.

올해도 난임 시술로 태어난 아이들이 연말이면 2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난임 시술을 통해 태어난 신생아 수가 올 상반기에만 1만654명에 달했다. 정부는 '중위소득 130% 이하' 가정을 대상으로, 체외수정(시험관 아기 시술) 비용의 일부를 지원하고 있다. 중위소득 130% 이하는 2인 가구 기준으로 합산소득 월 370만원 이하다.

이보다 소득이 높아 본인 부담으로 난임 시술을 받은 사람까지 고려하면 실제 난임 시술로 태어나는 아이는 이보다 많을 것으로 보인다. 김성훈 서울아산병원 교수는 "결혼 연령이 늦어지고, 환경 호르몬 등의 영향도 있어서 난임 부부가 늘어나는 추세"라고 했다.

실제로 매년 난임 치료를 받은 사람 수는 2013년 19만5710명에서 2016년 22만5135명으로 크게 늘기도 했다. 작년(21만 6211명)의 경우, 난임 치료를 받은 사람 열 명 중 일곱 명이 여성(15만1274명)이고, 나머지가 남성(6만4937명)이었다. 정부는 지난해 10월부터 만 44세 이하인 여성이 인공수정 3회, 체외수정 7회(신선배아 4회·동결배아 3회) 등 총 10회의 난임 시술을 받을 때 건보 적용을 해주고 있다.

전문가들은 "간절하게 아이를 가지고 싶어 하는 부부들에 대한 추가적인 지원도 고려해봐야 한다"고 했다. 권황 분당차여성병원 난임센터소장은 "여성의 나이가 많아질수록 체외수정을 위해 한 번에 채취할 수 있는 난자의 수가 줄어들기 때문에 현재 건보 지원을 받을 수 있는 횟수(체외수정 7번)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고 했다. 습관성 유산 등으로 고생하는 여성에겐 '착상 전 유전진단(배아의 세포를 떼내 유전질환이나 기형이 있는지 진단 후에 자궁벽에 착상시키는 방법)' 시술을 권할 만한데, 이는 건보 지원을 받을 수 없다. 김명연 의원은 "저출산이 심각한 만큼 이런 '보조 시술'도 건보 적용을 해주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