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한 해에만 전국에서 1만8261명이 '돌연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학적으로 돌연사에 대한 정의·통계는 없지만 보통은 '급성 심장 정지로 인한 사망'을 돌연사 개념으로 본다.

1만8261명은 같은 해 폐암으로 인한 사망자 수(1만7980명)보다 많고, 교통사고(5028명)로 인한 사망자의 3.6배나 된다.

9일 질병관리본부의 급성 심장 정지 통계에 따르면, 2017년 급성 심장 정지로 사망한 사람은 2만5859명이다. 이 중에서 각종 사고, 자살 시도 등으로 급성 심장 정지가 발생한 사람과 질병 말기 증상으로 심장이 멈춘 사람을 빼면 1만8261명이 돌연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은 대부분 심근경색, 심부전 등 심장에 문제가 생겨 목숨을 잃은 경우다. 전문가들은 "평소에 아무런 이상이 없다가 딱 한 번 발생한 심장 이상으로 사망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고 했다. 그만큼 '누가 돌연사할 것인가'를 예측하는 게 어렵다.

보건복지부 통계에 따르면 특히 겨울철에 급성 심근경색 등으로 사망하는 사람이 여름철에 비해 월평균 300명 정도 더 많다.

이 때문에 심장 전문의들은 "돌연사를 피하려면 추운 겨울 새벽·아침 운동이나 등산을 피하라"고 권고한다. 박덕우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교수는 "(겨울철 추운 밖으로 나와서) 주변 온도가 내려가면 혈관이 수축하는데 특히 심장동맥이 좁아지면 심장에 피가 충분히 공급되지 않아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했다.

아침에는 혈전(血栓·혈관 속에서 피가 굳어 생긴 덩어리)도 더 잘 생기기 때문에 심장에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커진다.

다만 1시간 전 생기는 '전조증상'에 주목하면 돌연사를 피할 수 있다. 묵직한 가슴 통증, 가슴이 뛰고 숨이 찬 증상이 있으면 병원을 찾아야 한다.

의사들은 돌연사는 결국 '생활습관병'이라고 강조한다. 오동진 한림대 강동성심병원 심장혈관내과 교수는 "금연, 운동, 건강한 식사, 스트레스 줄이기 등 생활 속의 노력으로 돌연사를 예방할 수 있다"며 "정부가 감염병이나 각종 중증 질환에 대응하는 노력만큼 국민의 생활습관 개선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