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대현 서울대병원 강남센터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또라이 제로 조직(the no asshole rule)’은 스탠퍼드대 로버트 서턴 교수의 저서로 조직 문화와 성과에 악영향을 미치는 그(또라이)에 대한 내용이 담겨 있다. 그는 전염성이 강해 주변 사람마저 또라이로 만들 수 있고 직원들의 동기 부여를 앗아가고 원활한 소통을 망치며 퇴직률을 높이는 등 조직에 주는 피해가 크다는 것이다.

또라이 감별 설문지도 제시했는데 요약하면 두 가지 진단 기준이 중요하다. 첫째는 그를 만나게 되면 기분이 비참해지고 위축되며 자신이 가치 없게 느껴지게 된다. 또 하나는 그는 자기보다 약자인 사람을 타깃으로 정해 함부로 대하고 상사이거나 파워를 가진 사람에겐 완전 다른 모습을 보이는 이중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즉 약자와 강자를 어떻게 대하느냐의 차이가 진단에 중요한 기준이 된다는 것이다.

그런데 일시적 또라이 행동은 누구에게나 나올 수도 있다. 반성과 변화가 동반된다면 공인 또라이(certified asshole)는 아니라는 것이다. 공인 또라이는 자신의 문제를 인지하지 못하고 그러다 보니 문제 행동이 고착된 경우로 정의한다.

타인을 불편하게 하는 성격 문제의 유무를 판별하는 데 있어 핵심적인 요인이 자기반성(self-reflection)이 가능한지 여부다. 성격 문제를 가진 사람이 치료를 위해 스스로 병원을 찾는 경우가 드물다. 자기반성 기능에 문제가 있기 때문인데 예를 들어 지나친 자기애(narcissism)의 소유자는 자존감이 튼튼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작은 비난에도 쉽게 무너져 버리는 자아를 갖고 있다. 그러다 보니 자기 잘못을 이해하고 인정하는 자기반성이 어렵다. 자신은 항상 완벽하다는 억지에 가까운 방어벽을 만들고 모든 문제의 원인은 타인에게 있다고 비판한다.

직장인 업무 스트레스 중 하나가 성공은 자기 덕분이고 실패의 원인은 구성원에게 돌리는 리더 때문에 동기는 떨어지고 분노와 자괴감을 느낀다는 내용이다. 이런 리더들의 한 특징이 자기반성 기능이 결여되어 남에게 핑계를 돌리는 억지 주장을 강하게 펼치는 것인데 이를 강한 신념의 표현으로 포장하기도 한다.

사회 조직에 또라이가 침범하여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막아야 한다는 서턴 교수의 의견에 동의한다. 갈등과 위기 상황에서 난 잘못 없고 다 남의 탓이라고 하는 사람은 의심해 보아야 한다. 동시에 내 행동도 돌아보아야 한다. 남에게 탓을 돌리는 것은 자기 방어의 본능이기에 남의 탓이 아닌 내 탓이라 할 수 있으려면 꾸준한 자기반성의 훈련이 필요하다.